매장에서는 구매자가 구매한 물건을 손에 들고 갈 수 있게 전달하는일 까지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는 판매자의 일이고 당연한 서비스 였죠. 헌데 어느새 부터인가 환경부담금이란 이유로 소비자에게 봉투값을 부과하기 시작하였죠, 처음부터 잘못된 일이였습니다. 처음 각 나라의 정부는 기업들에게 환경부담금을 부과 하였거든요 판매를 위해 봉투가 필요한건 구매자가 아니라 판매자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기업가들은 머리를굴려 이를 구매자에게 전가시키려 했습니다. 어차피 환경과 관련된일은 너나할것없이 사람과 지구라는 단순한 원리가 적용되니까요.
그것에 더불어 환경부담금은 결국 물가상승으로 이루어질것이다 라는 이유도 내밀었죠, 하지만 제조사는 이미 환경부담에 관련된 세금을 내고 있습니다. 이젠 소비자도 내고 있죠 원래는 유통사, 마트가 내어야 해던것인데 환경과 물가상승이라는 두가지 이슈를 전부 소비자에게 넘겨주었죠 처음엔 의문점을 제시하는 사람도 있었고 난동을 피우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진상이라 손가락질 당했죠 모두의 환경을 위해 봉투값을 내는게 뭐가 잘못이냐는 말이였죠. 하지만 이는 환경에 관한 이야기가 아닙니다. 판매와 구매에관한 이야기죠, 그렇게 몇년이 흐르고 우리는 이를 당연하게 생각하며 대형마트같은 몇몇곳에서는 직접 물건을 포장하기까지 합니다. 기업 입장에서 소비자는 잠시 무상 포장업무 노동자까지 되는거죠 마치 돈은 지불하지만 배급을 받아가는 모양새로요. 이제 소비자는 포장으로 인한 비용도 당연히 대신 소비하며 물건을 구매합니다. 교묘한 기업의 술책에 아무도 의문점을 제기하지 않습니다. 물건을 대량으로 구매해 포장된채 소비자의 손까지 전달해야 하는것, 이것은 유통사(판매자)의 일 이라는점을 잊지 말아주시길 바랍니다.
• 소비자 부담 증가:
환경부담금이라는 명목으로 봉투값이 소비자에게 부과되며, 기업의 비용이 소비자에게 전가되고 있음.
• 책임 주체의 왜곡:
본래 판매자가 부담하던 유통 포장 책임이 소비자에게 넘어가, 포장과 전달에 있어 판매자의 책임이 약화됨.
• 환경 명분의 오용 가능성:
환경 보호라는 목적이 상업적 논리로 이용될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소비자는 환경 문제의 비용을 과도하게 떠안고 있음.
• 소비자의 무임노동화:
소비자가 포장 인력의 역할까지 수행하고 있음에도, 이에 대한 인센티브나 선택권이 없는 구조로 고착화됨.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