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책명: 태권도 남북공동 유네스코 등재를 위한 교류 정책
2. 배경 및 필요성: 태권도는 대한민국의 전통 무예이자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스포츠로, 전 세계 214 개국에서 2억 명 이상이 수련하고 있는 글로벌 스포츠로 성장하였습니다.
3. 유네스코 등재 추진 현황의 시급성과 추진 과제
1) 현황과 시급성
북한이 2024년 3월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전통 무술 태권도’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단독 등재 신청 하였습니다.
대한민국은 2025년 3월까지 등재 신청을 완료해야 남북 공동등재 가능성 확보할수 있습니다.
북한의 단독 등재 시 세계적으로 태권도 종주국 위상에 심각한 영향 우려됩니다.
2) 추진 과제
정부 차원의 신속한 유네스코 등재 신청 추진단 구성과 예산 지원이 필요합니다.
문화체육관광부, 국가유산청, 통일부, 외교부 등 범부처 협력 체계 구축이 필요합니다.
남북 공동 등재를 통한 태권도 종주국으로서의 위상 강화와 2025년 12월 이전 등재 신청 완료를 위한 비상 대책 마련
4.정책 제안 내용:
1) 유네스코 등재 범위 확대 추진
태권도의 역사·철학·예절 체계 등 무형문화 가치에 더해 지역별 도장 문화, 전통 수련 방식 등의 다양성 반영.
2)정부 주도의 ‘태권도 세계화 위원회’ 설치
외교부, 문화체육관광부, 태권도진흥재단, 국기원 등과 협력하여 유네스코 등재 실무 전담 조직 운영
3)해외 태권도 커뮤니티와 협력 강화
각국 태권도 협회 및 유네스코 국가위원회와 연계하여 문화적 유산으로서의 태권도 가치 홍보
4)청소년 및 글로벌 네트워크 교육 프로그램 확대
세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태권도 평화사절단’ 프로그램 운영 및 문화다양성 속에서의 태권도 가치 교육 확대
5)디지털 아카이빙 및 글로벌 홍보 캠페인
VR/AR 기반의 태권도 체험 자료 제작 및 SNS 및 글로벌 플랫폼을 통한 태권도 정신 및 역사 알리기
2025년 7 월 17일
□ KOREA 태권도 유네스코 추진단 일동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