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배경 및 문제의식
안녕하세요 현대 한국 사회는 아파트, 원룸 등 개별 주거가 일반화되며 이웃 간 소통과 지역 공동체의 정이 단절되고 있습니다. 특히, 청년과 중장년층은 교육기관 수료 후 관계가 끊어지며 고립을 겪기도 합니다. 예전처럼 마을에서 함께 자라고, 어울리던 공동체가 사라진 지금, 새로운 형태의 ‘마을 공동체’가 필요합니다.
정책내용
1. 덴마크의 Folkehøjskole(폴케호이스콜레) 모델을 한국에 도입
18세 이상 누구나 참여 가능 (청년, 중장년, 노년층 포함)
(20대에서~50대)
60대이상인 분들은 따로모아 교육
기숙형 또는 통학형 공동체 생활형 교육기관
학업보다는 삶과 소통, 관계 중심의 주제 (예: 철학, 예술, 자연, 협동, 공동체운영 등)
학점·졸업 없음, 오직 경험과 배움, 사람 간 교류를 위한 공간
2. 명칭 및 제도화 제안
명칭 예시: 평생공동체학습마을, 인생학교, 사람도서관, 마음마을학교
지방자치단체나 국가 주도로 시범지구 지정 후 전국 확대
기존 unused 공공건물 리모델링 활용 (폐교, unused 청사 등)
3. 운영방식
일정 기간(3~6개월) 숙식 및 공동생활 중심
다양한 분야의 지도자(예술가, 철학자, 농부, 명상가 등)가 순환 강의
서로 다른 배경의 사람들이 함께 지내며 평생 친구, 공동체 형성
정책 기대효과
세대 간 소통 및 인간관계 회복
지속적인 자아성찰과 인성교육 기회 제공
지역 공동체 활성화 및 지방 정착 유도
정서적 고립 해소, 고독사·우울증 예방
해외사례
🇩🇰 덴마크 – 폴케호이스콜레(Folkehøjskole)
150여 개 운영, 청년부터 노년까지 다양한 연령 참여
평생 친구를 만드는 공간으로 유명
대학 입학과 무관, 자아발견과 공동체 회복에 집중
덴마크 정책: 덴마크 – 폴케호이스콜레(Folkehøjskole)
150여 개 운영, 청년부터 노년까지 다양한 연령 참여
평생 친구를 만드는 공간으로 유명
대학 입학과 무관, 자아발견과 공동체 회복에 집중
마지막으로 남기는 말
덴마크는 행복지수가 1위인 나라입니다. 복지도 잘되어있고 사람들과의 존중이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도 행복사회로 가야 합니다. 서로 배려와 존중하면서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정책도입으로 한 사람이라도 살려야 합니다 많은국민들을 살려주세요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