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제안 내용
최근 국비지원 학원이나 평생교육 과정 등에서 사람들과 만나 정을 쌓는 경험을 하며 느낀 점이 있습니다. 한국 사회는 과거 마을 중심의 공동체 문화를 잃고, 개별 주택·아파트 중심으로 이웃과의 교류가 단절된 사회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일본처럼 **‘지역 주민 교류 센터(地域交流センター)’**를 도입하면, 고립된 개인들에게 따뜻한 공동체를 회복할 수 있습니다.
이 센터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
평생교육 + 취미·동아리 + 마을행사 + 공동 돌봄 기능을 하나로 통합
실직자, 고령자, 청년, 주부 등 모든 계층이 편하게 드나들 수 있는 공간
동네 소모임, 교양 강좌, 공공 프로그램 운영 (지역 도서관, 복지관, 주민센터의 장점 통합)
마을학교, 세대 간 소통, 멘토링, 정기 축제/시장/공연 등 지역활성화 행사 유치
정책 기대 효과
이웃과의 교류 회복 → 고독사, 우울증 예방
실직자·은퇴자·주부·청년 등 사회적 고립 해소
자율적인 학습과 재교육 기회 제공
공동체 의식 형성과 사회 통합 효과
동네에서 생기는 일자리(매니저, 프로그램 기획자, 강사 등)
국비교육과정, 평생교육, 복지센터가 제각각 분산된 현 구조를 통합하여
"지역사회 평생교류센터"를 시·군·구마다 1개 이상 설치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자율적 프로그램 운영을 허용하여
이웃과 함께 배우고 웃는 대한민국 공동체를 회복합시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