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현황 및 문제점
1-1. 위치적 중요성:
55보급창은 부산 북항 재개발 1단계 완료구역과 인접한 요충지에 위치하고 있음. 해당 부지는 부산항과 도심을 연결하는 핵심 지역이자, 향후 북항 2단계 개발의 관문에 해당함.
1-2. 군사시설의 제한성:
현재 55보급창은 군사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민간인의 접근이 제한되고, 건축 및 개발에 있어 상당한 제약이 발생함.
1-3. 도시재생의 장애요소:
북항 재개발은 글로벌 해양관광도시로서의 부산의 위상을 높이는 핵심사업임에도 불구하고, 55보급창은 도심과 해안 간의 연계성을 단절시키며 공간적 단절과 미관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
2. 이전 및 공원화 필요성
2-1. 도시통합성과 경관 확보:
55보급창 부지는 부산역과 북항을 연결하는 전략적 요지로, 이전 시 시민 접근성이 높아지고, 북항 친수공간과의 연결성이 향상됨.
2-2. 안전 및 개방성 확보:
군사시설로 인한 보안상의 통제 해소로 시민의 자유로운 이동과 활동 공간 확보 가능.
2-3. 기후 및 환경 대응:
공원화 시 도시 열섬현상 완화, 탄소 저감, 생태적 회복 탄력성 증대 등의 환경적 효과 기대 가능.
2-4. 지역경제 및 관광 활성화:
공원화 및 문화공간 조성 시 지역 관광 자원으로의 활용 가능성이 높으며, 인근 상권과 연계한 경제 효과 유발 가능.
---
3. 요청사항
3-1. 국방부 및 국토부에 55보급창 이전 협의 착수 요청
북항 2단계 개발 일정과 연동한 단계적 이전 로드맵 수립 필요
대체 군시설 후보지 검토 및 이전비용 지원방안 마련
3-2. 지자체 및 부산항만공사의 적극적 역할 요청
부산시 및 부산항만공사가 중앙정부와 협력해 적극적 민관합동 협의체 구성
시민 의견 수렴을 반영한 공원화 마스터플랜 마련
3-3. 정부차원의 재정 지원 요청
이전 및 공원화 관련 국비 확보 추진
도시재생 뉴딜사업 및 탄소중립도시 시범사업 연계 가능성 검토
---
4. 기대 효과
4-1. 해양도시 부산의 정체성 회복
바다와 도심을 연결하는 통합적 도시구조 완성
친수공간 확대와 관광 콘텐츠 다변화
4-2. 주민 삶의 질 향상
접근성 높은 도시공원 확보로 휴식·문화·운동공간 제공
건강증진 및 커뮤니티 활성화 기여
4-3. 북항 재개발의 완성도 제고
기존 1단계 개발구역과의 시너지 극대화
공공성 중심의 개발모델 실현
4-4. 미래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도시 유산 창출
군사기지에서 생태공원으로의 전환은 상징적 도시 전환점
환경과 역사, 시민 삶이 공존하는 도시공간 구현
● 결론
부산 북항 55보급창 이전 및 공원화는 단순한 개발 이슈가 아닌, 미래 부산의 정체성과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필수 전략입니다. 시민의 삶, 지역경제, 국가 안보의 조화 속에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정책적 결단과 협력이 절실합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