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기획위원회 모두의 광장 제보 자료
제목 : 우리 말, 우리 한자(韓字), 병기(倂記)로 사용하는 정부정책을 제안 드립니다.
1. 우리 한자(韓字) 강사 김종익 입니다.
- 저는 경북 구미의 국립 금오공과대학교 평생학습원 , 구미대학교 평생학습원, 경운대학교 평생학습원,
구미시 평생학습원 등지에서 우리나라 한자(韓字)를 강의하고 있으며,
0. 우리나라 최초“人名 破字韓字 大辭典” (인명 파자한자 대사전)
및 “ 우리 말, 우리 한자 千字文 ” 발표 .
-현제까지 우리나라 전국민의 대다수가 이름은 한자로 사용하고 있기에, 2024. 6월 기준 대법원 지정된 이름한자 9.389자에 대하여 파자한자(破字 韓字)로 풀이한 책을 권당 약 500페이지 분량으로 총8권으로 편철하여, 우리나라 최초 인명 한자 해설서를 발표헸었습니다.(영남일보 기사 참조)
사람의 이름 뜻을 쉽게 알아볼수 있고, 이해할수 있게, 한글자 한글자를 풀이하였으며, 한자학습에 도움이 될수 있도록 한글병기 사용으로 했으며.
(예)
本字 同字 略字 簡體字 발음 수리 (破字韓字)
(본자) 동자 약자 중국어 오행 획수 파자한자
覺 𧠷 覚 觉 火 20 𦥯 배울 학 = 𦥑 깎지낄 국 爻 사귈 효 冖 덮을 멱
깨달을 각 見 볼 견
뜻 풀이 : 깨닫다. 攄得(터득)하다. 파자한자 뜻풀이 : 서로 깍지를 끼고 손을 덮어 사귀면서 보고 배워 깨닫는다.
-2025. 2월부터는 우리나라 최초로 제가 집필한 “ 우리한자 千字文”을 교재로 하여 제가하는 강의에 교재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존 천자문(千字文)의 내용은 중국에 관한 것들이라, 내용을 우리의 단어로 하여, 기초에서 중,상급으로 향상되어지도록 구성 하였 습니다.)
2. 구미시 조례 제정 및 전국 시, 도 조례가 제정되고 있다.
- 우리 국민들의 어휘력, 문해력을 높이고, 어린이, 학생들의 학습효과 증대를 위하여, 전국 기초자치단체에서는 전국 최초로 구미시
의회에서 조례 제정 중에 있으며,
특히 전국 광역자치단체에서
2024. 11. 11 경상북도 의회의 한자교육 지원 조례,
2025. 4. 3 전라남도 의회의 한자교육 지원 조례.
2025. 5. 8 전라북도 의회의 한자교육 지원 조례.
2025. 5.16 충청북도 의회의 한자교육 지원 조례.
2025. 5. 17 인천광역시 의회의 문해교육 지원 조례.
2025. 6. 27 대전광역시 의회의 한자교육 지원 조례.
2025. 7. 8 충청남도 의회의 한자교육 지원 조례 제정 중.
앞 다투어 국민들과 어린이, 학생들의 어휘력, 문해력, 수리력 향상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에 이제는 정부가 나서서 전 국민들의 어휘력, 문해력 향상을 위하고,소리글자인 우리 한글에, 뜻 글자인 우리 한자(韓字)를 병기 (倂記)사용함으로써, 수레의 양바퀴처럼 완벽한 우리의 글과 말이 완성될것입니다
3. 한자 학습은 파자한자(破字韓字) 학습이 답이다.
- 과거 한자 학습은 암기식, 주입식 방법이라 어려워 기피 하였었다.
하지만 파자한자(破字韓字) 학습은 이해식, 풀이식이라 누구라도 쉽고 재미있게 접근하여 놀이식, 이야기식으로 학습할수 있는
방법이다.
예) “人 사람 인 ” 한자를 파자한자로 풀이 해설한다면
= 丿 삐침 별 (뜻 : 부족하다, 지팡이 ), 丶 점 주 (뜻 : 작다 )
해설 : 작고 부족한 것들이 서로 의지하며 살아가는 것이 사람이다.
- “한자는 중국 글자이다” 라는 인식은 잘못된 것이고, 우리 글자이다.
역사적 사실은 장문(長文)이 필요하여 차지하고, 글은 글자, 발음, 뜻이 통일되어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이, 그 나라의 글인데,
중국, 일본 등 각각 나라마다 쓰여지는 글자, 발음, 뜻이 우리와 조금씩 다르며, 중국어. 일본어라고 하여, 각각 나라마다 달리 사용 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가 사용하는 한자도 중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와 다르다.
예) 韓牛(한우), 韓藥房(한약방)하면 다 우리의 물건이고 우리의 한자이다
중국어는 漢字(한자)이고, 우리말 韓字(한자)는 우리의 글인 것이다.
4. 결어 : 한글이 더욱 빛날 한자병기(韓字倂記)로의 사용하는 제도가 절실합니다.
-최근 각종 방송, 언론에서 우리 국민의 어휘력, 문해력 저하에 따른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그 해결 방안으로 몇가지를 말하지만,
저는 근본적인 해결방법은 한자의 이해가 유일한 답이라 생각합니다.
영어가 영국영어, 미국영어가 있듯이, 한자도 중국한자, 일본한자,있고, 우리는 우리의 한자가 있는것입니다.
우리는 우리의 한자를 통하여 우리의 말과 우리의 글인 한글이 더욱 빛나게 하기 위하여서는 이제 정부가 나서야 된다고 생각하며,
2025. 10. 18 한글날이 더욱 빛날 수 있도록 한자병기(韓字倂記) 사용에 관한 정책과 제도가 제정될수 있길 간절히 제안 드립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