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공무원 직원평가 문제점~~~~^^

■공무원 직원평가 문제점 (강제배분문제) 직원들은 모두 열심히 하여 차이가 별로 없는데 강제로 순위를 정하고 그 차이가 상당히 크다. 직원간에는 업무는 종이한장 차이로 실력,능력,성실등 거의 비슷한데 10%,20%30% 이상씩 차이나게 강제로 차별하여 평가하고 배분해야 한다. 인사평가의 많은 차이로 인해 인맥쌓기,뇌물등 비리, 경조사비,선물등 챙기기, 지인부탁 청탁, 밥과 술사기,연고서열 챙기기, 갑질과 을질,투자정보 제공하기, 향응제공, 각종상납고리,줄세우기, 가혹행위,좋은보직 받기,빽싸움등 온갖 비리가 생겨난다. 여기서 갈등이 유발되고 분열과 불신을 조장하고 집안싸움 일어난다. 10명의 친구보다 1명의 적을 만들지 말라고 했는데 평가로 인해 적이 생긴다. 누구를 챙기는 것은 누구에게는 차별이고 손해를 보기 때문이다. 인사권자는 현실에 맞지 않는 강제배분에 의한 잔인한 평가를 해야 한다. 지휘관 입장에서는 직원들이 분열되야 다르기 쉽다. 똘똘 뭉치면 다르기 힘들고 직협,노조등 단체를 조직하여 권리를 주장하고 반항을하기 때문에 지휘권 확보 차원에서 직원간 이간질,줄세우기,차별등 인사평가로 인한 분열을 조장하는 경우가 많다. 인사평가는 합법을 가장한 갑질이고,차별이고,인권침해다. 그래서 평가는 최소한으로 해야 한다. 기준을 명확하게 해야 한다. 경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고 부장용이 적고 단합이 잘되고 안정적이다. 실력,능력,특정인은 챙기는 것은 차별과 비리을 위한 핑계일 뿐이다. 심사,특진,시험 승진등은 최소한으로 하고 장기적으로는 폐지해야 한다. 직무능력과 실력은 공식적인 교육으로 얼마든지 대체할수 있다. 직무에 필요한 교육은 하위직 공무원뿐 아니라 대통령을 비롯 조직의 수장,고위직 공무원등 모든 공무원이 다 같이 정기적인 교육을 꾸준히 받아야 한다. 특히 막강한 권한을 가진 국회의원,대통령,지자체장,교육감, 시군구의원등 선거로 뽑은 모든 선출직 공무원은 반드시 업무에 필요한 지식과 지휘능력등을 최소 3개월이상 직무 기본교육을 받아야 한다. ​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