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S는 주식 거래 시간 연장 및 수수료 인하 등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오히려 시장 유동성 분산이라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여 투자자들에게 혼란과 비효율성을 초래할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KRX로 집중되어야 할 거래량이 ATS로 분산됨으로써 수급의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이는 곧 시장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결과를 낳을 것입니다.
유동성 분산으로 인한 시장 비효율성 증대: 복수의 거래소가 존재할 경우, 투자자들은 여러 플랫폼을 동시에 주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에 직면합니다. 이는 정보 탐색 비용을 증가시키고, 호가 공백을 발생시켜 시장 가격 발견 기능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충분한 유동성이 확보되지 못해 원하는 가격에 거래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투자자 혼란 가중: 여러 거래소에서 동일 종목이 거래될 경우, 투자자들은 최적의 거래 조건을 찾기 위해 복잡한 분석을 해야 합니다. 이는 투자 판단을 어렵게 하고, 특히 개인 투자자들에게는 더욱 큰 혼란으로 다가올 것입니다.
한국거래소(KRX)의 거래 시간 연장: ATS 도입을 통한 거래 시간 연장 효과는 KRX 자체적인 거래 시간 연장을 통해 충분히 달성할 수 있습니다. 현재 KRX의 거래 시간을 탄력적으로 연장하여 투자자들이 보다 긴 시간 동안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이는 수급을 한 곳으로 집중시켜 시장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KRX의 독점적 지위를 공고히 하여 국가 대표 거래소의 위상을 강화할 것입니다.
시장 유동성 집중 및 효율성 증대: 모든 거래가 KRX로 집중되어 호가 공백이 줄어들고, 안정적인 가격 발견이 가능해집니다.
투자자 편의성 증대: 투자자들은 하나의 플랫폼에서 모든 정보를 얻고 거래할 수 있어 편의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대체거래소(ATS) 도입은 겉으로는 혁신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시장의 비효율성을 초래하고 투자자에게 혼란을 안겨줄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자본시장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투자자 보호를 위해서는 ATS 폐지하고, KRX의 거래 시간 연장 및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단일화된 강력한 시장을 구축하는 것이 시급합니다. 이를 통해 대한민국 주식시장이 더욱 투명하고 효율적인 시장으로 거듭나기를 강력히 제안합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