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요약
기업·공공기관이 ESG 경영 원칙을 장애인 인권·복지 향상에 연계하여, 지속가능한 포용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 과제를 제안합니다.
2. 배경 및 필요성
ESG 패러다임 확산 : 환경보호·사회책임·투명경영이 기업 평판·투자 유치의 핵심 요소로 자리잡음
장애인 인구 증가·포용 요구: 전체 인구의 약 5~6%가 장애인으로, 노동·소비·사회참여 영역에서 기회 격차 해소 필요
기업·공공의 사회책임 : 장애인 고용·서비스 접근성 개선은 ‘S(사회)’ 가치 실현의 주요 과제
3. 목표
환경(E) 가치와 장애인 안전·편의성을 결합한 물리환경 조성
사회(S) 분야에서 장애인 고용·교육·문화 참여 확대
지배구조(G) 차별·배제 없는 조직문화·정책 프로세스 확립
4. ESG 각 영역별 실천 과제
E. 환경(Environment)
- 배리어프리 그린 인프라 구축
- 친환경 건축·리모델링 시 전동휠체어 경사로, 시각장애인 안내등, 청각장애인 알림 기능 포함
- 태양광·지열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 주변에 충전소 경사로 및 안내표지 설치
- 친환경 보조기기 개발 지원
- 재생 플라스틱·친환경 소재 보조기기 R&D 펀드 조성
- ESG 투자기업 대상 장애친화 보조기기 스타트업 우대 금융지원
S. 사회(Social)
- 장애인 고용 확대 및 역량 강화
- 전체 임직원 대비 장애인 고용 목표 설정(예: 5% 이상) 및 성과 공유
- AI·빅데이터·로봇 보조기술 분야 직무훈련 프로그램 제공
- 포용적 제품·서비스 기획
- 사용자 참여형 유니버설 디자인(UD) 워크숍 정례화
- 배리어프리 관광·문화 콘텐츠 패키지 및 온라인 플랫폼 운영
- 지역사회 CSR 프로그램 운영
- 장애인 단체·학교와 연계한 멘토링·인턴십·봉사활동 확대
- 사회적기업·협동조합과의 협업을 통한 장애인 창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
G. 지배구조(Governance)
- 장애인 정책 거버넌스 강화
- 이사회·경영진 직속 ‘포용경영 위원회’ 구성 및 장애인 대표 참여 보장
- 내부 감시체계 구축: 장애인 관련 ESG 지표 모니터링 및 공시
- 투명한 평가·공시 체계 마련
- GRI·SASB, UN SDGs 중 ‘장애인 포용’ 관련 지표 수립
- 연간 ESG 보고서에 장애인 정책 성과(고용률, 투자, 접근성 개선 등) 공개
5. 실행 로드맵
단계 기간 주요 과제
준비 ’25 4Q ESG 장애인 정책 TF 구성·목표 설정·예산 확보
시범 ’26 1H 본사·주요 사업장 3곳 배리어프리 그린 리모델링 시범
확산 ’26 2H~’27 전사·자회사로 확대, 장애인 고용·교육·문화 프로그램 전면 시행
정착 ’28 이후 ESG 보고서·공시 체계 안착, 글로벌 벤치마킹 및 지속 개선
6. 기대 효과
환경적 가치 : 장애인 접근성 강화가 친환경 인프라 활용 확대와 시너지
사회적 가치 : 장애인 고용·역량강화로 생산성 상승·사회통합 촉진
거버넌스 개선 : 투명하고 책임감 있는 경영으로 국내외 투자·파트너십 강화
7. 결론
ESG 경영과 장애인 정책의 결합은 지속가능한 성장과 포용사회를 동시에 실현하는 핵심 전략입니다. 위 제안을 통해 환경·사회·지배구조 전 영역에서 장애인 권리를 보장하고, 기업·공공의 책임을 다함으로써 모두가 공존하는 미래를 만들어가길 기대합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