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인구의 급속한 감소는 한국 사회의 구조적 위기 중 하나입니다. 특히 청년층의 수도권 집중 현상은 지방의 노동력 고갈, 교육·의료서비스 축소, 지역 공동체 붕괴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현재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시행하고 있는 청년 유입 정책은 일시적인 인센티브 중심이거나 예산 부족, 일자리 미스매치 등으로 실효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청년 지역정착 패키지’를 국가 차원에서 상시 운영 체계로 전환하고,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강화할 것을 제안합니다:
주거 지원 확대: 지방 정착 청년에게 최대 5년간 주거비 보조 또는 공공임대주택 우선 공급.
일자리 연계: 지역 기업과 연계한 정규직 일자리 매칭 프로그램 운영, 월 임금 보조 또는 고용 유지 인센티브 지급.
창업 및 농촌 유입 지원: 청년 창업자에게 초기 자금, 멘토링, 공간 지원 패키지 제공. 농촌 유입 청년에게 귀농·귀촌 정착금과 기술교육 지원.
공공 서비스 접근성 개선: 지역 내 병원, 문화시설, 대중교통 등 인프라를 함께 확충하여 청년이 머물 수 있는 생활환경 조성.
지방소멸 문제는 단순한 인구 정책을 넘어 국가 균형발전과 관련된 중대한 과제입니다. 청년층이 자발적으로 지방에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단발성 지원이 아닌 지속 가능하고 종합적인 정착 생태계 구축이 필요합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