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한국 전통주, 맥주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제언서

1. 현황 및 문제점 요약 한국 전통주 수출 현황 2023년 전통주 수출액 약 2400만 달러, 2010년대 초반 대비 3배 성장 소주 수출액은 2022년 9333만 달러 → 2024년 1억 451만 달러로 지속 증가 맥주 수출액은 상대적으로 저조, 미국·유럽 등 주요 시장 진출 미흡 전통주 생산 중소업체가 대부분이며, 기술·인력 부족과 규제 부담 존재 국내 전통주 시장 1475억원 규모로 성장 중이나, 중국 바이주·일본 사케 대비 글로벌 경쟁력 낮음 일본 니혼슈(사케) 수출 현황 및 전략 2015년 약 950만 달러 → 2023년 약 3000만 달러로 급격히 수출 증가 (215%) 2021년부터 한국 전통주 수출액 역전 쌀 소비 감소 문제를 사케 고부가가치 산업화로 해결 ‘야마다니시키’, ‘고햐쿠만고쿠’ 등 주조용 쌀 품종 계약재배 통한 안정적 원료 확보 주요 시장(미국·유럽) 뿐 아니라 중동, 아프리카, 남미 등으로 수출시장 다변화 할랄 인증 등 이슬람권 진출 전략 추진 일본농협(JA)의 수출전용 브랜드 ‘TOKYO Z1’ 등 브랜드화 전략 및 정부 차원의 박람회·지원 프로그램 운영 수출 확대를 위한 현지 맞춤형 마케팅과 유통망 확보에 집중 2. 문제점 비교 분석 구분 한국 전통주 일본 니혼슈(사케) 수출 규모 2023년 약 2400만 달러 2023년 약 3000만 달러 수출 성장률 완만한 성장, 24% 10년간 증가 215% 급격한 성장 (2015~2023) 원료 확보 쌀 소비 줄어듦, 농가 계약재배 미흡 계약재배 중심 안정적 원료 공급망 확보 시장 다변화 미국 등 일부 제한적, 수출국 다변화 미흡 중동·아프리카·남미 등 다변화, 할랄 인증 등 신규 시장 개척 브랜드화 중소업체 중심, 브랜드 인지도 낮음 정부·농협 등 주도의 브랜드 육성, 수출전용 브랜드 운영 정부 지원 주로 내수 중심 정책, 수출 지원 미흡 수출 전용 지원프로그램, 박람회 참가, 해외 마케팅 지원 등 적극적 산업 구조 소규모 업체 다수, 기술·인력·마케팅 역량 부족 협력적 산업 구조, 농가-양조장-유통망 연계 3. 한국 전통주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언 3.1. 원료 안정적 공급 및 품질 고급화 쌀 및 지역 농산물 계약재배 확대를 통한 안정적인 원료 확보 지원 전통주용 특화 품종 연구개발 및 보급 강화 원료 품질 기준 명확화 및 품질 인증 제도 확대 지역특산물 활용 전통주 개발 촉진 (유자, 홍시, 인삼 등) 3.2. 수출시장 다변화 및 현지화 전략 강화 기존 미국·일본·몽골·홍콩 외 중동·동남아·남미 등 신시장 개척 추진 할랄 인증 등 국제인증 지원을 통해 이슬람권 진출 확대 현지 소비자 맞춤형 제품 개발 및 마케팅 지원 해외 박람회 참가 및 공동 브랜드 홍보 강화 3.3. 브랜드 육성 및 산업 구조 개선 전통주 수출전용 브랜드 개발과 통합 마케팅 추진 정부·지자체와 민간 협력체계 구축, 중소업체 컨설팅 및 기술 지원 확대 품질 향상 및 디자인·스토리텔링 강화로 브랜드 경쟁력 제고 수출 협의회·펀드 등 자금 지원과 네트워크 활성화 3.4. 수출 인프라 및 유통망 확충 해외 면세점, 현지 유통채널 입점 확대 온라인 직거래 플랫폼 개발 및 글로벌 이커머스 연계 지원 물류·통관 프로세스 개선으로 수출 효율화 3.5. 정책 및 규제 개선 ‘전통주법’ 및 관련 규제 완화로 창업 활성화 및 신제품 개발 촉진 수출용 전통주에 대한 품질·안전 기준 합리화 및 국제 규격 부합 내수·수출 연계 정책 마련, 내수 진흥과 수출 확대의 균형 추구 - 내수의 경우 주류를 파는 식당에 전통주 인센티브 지급 등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음 🍓 과일 막걸리의 강점 항목 장점 맛 부드럽고 달콤해서 술에 약한 사람도 즐기기 쉬움 향 과일 특유의 싱그러움과 계절감 표현 가능 디자인 병 디자인이 예쁘고 디저트나 가벼운 요리와도 잘 어울림 연출 칵테일처럼 잔에 따라 다양하게 서빙 가능 계절성 봄/여름 한정 상품으로 구성 시 반응 좋음 (벚꽃, 복숭아, 수박 등) 🍑 잘 알려진 과일 막걸리 종류 이름 과일 특징 복숭아 막걸리 복숭아 부드럽고 여성 고객 선호도 높음 청포도 막걸리 청포도 상큼함 + 산도 강조 딸기 막걸리 딸기 핑크 컬러로 비주얼 굿, 봄철 인기 유자 막걸리 유자 산뜻한 향, 한식 반찬과도 잘 어울림 자몽 막걸리 자몽 쌉싸름함 있어 식전주에 적합 블루베리 막걸리 블루베리 디저트 느낌, 색감이 강함 수박 막걸리 수박 여름 한정으로 인기도 높음 오디 막걸리 오디 컬러 진함 + 숙성감 있음 🍶 활용 방식 제안 ✅ 1. 오마카세 전용 식전주/디저트주 식전주: 자몽/유자/청포도 막걸리를 와인잔에 디저트주: 딸기/복숭아 막걸리 + 디저트 (떡, 양갱 등) 에이드형 서빙: 막걸리 + 탄산수 + 민트 or 얼음 ✅ 2. 계절 한정 메뉴로 연출 봄: 딸기 막걸리 + 딸기 모찌/단호박전 여름: 수박 막걸리 + 수박 화채 or 냉채 가을: 오디 막걸리 + 밤전 or 도토리묵 겨울: 따뜻하게 데운 유자 막걸리 + 생강 쿠키류 ✅ 3. 전통 디저트 페어링 전통 디저트 어울리는 과일 막걸리 약과, 강정 복숭아/자몽 막걸리 곶감, 감말랭이 오디/딸기 막걸리 떡 종류 (설기, 인절미 등) 청포도/딸기/유자 막걸리 한과 유자/복숭아 막걸리 (달지 않게) 과일 외의 막걸리와 자연스러운 단맛 재료 유형 대표 재료 전통 당류 꿀, 조청, 엿기름, 물엿 곡물/전분 고구마, 단호박, 밤, 찹쌀 청류 유자청, 오미자청, 산수유청, 매실청 팥류 팥앙금, 흰앙금 꽃·허브 장미, 자스민, 라벤더, 국화 과일 베이스 보조 감, 배, 대추, 생강, 계피 등 전통주 페어링 코스 요리 발굴 등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