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전통문화를 미래가치로!

□ 들어가는 글 우리 주변의 수많은 전통문화는 대부분 전승 또는 보존의 가치로 남아 단순 공연, 관광 또는 체험적 요소에 머물고 있으며 관련 연구도 미흡하여 조선 시대에 머무르고 있는 듯합니다. 제안하고자 함은 이러한 전통문화를 보존과 전승 외에 현재와 미래가치로 변환, 재창조 방안을 제안함에 있습니다. □ 제안 1. 한국 역사와 사상의 정립 동북공정이나 독도 등 이웃 나라들은 없는 역사도 만들어 왜곡하거나 침탈하려는데 우리는 정작 있는 역사도 제대로 인정하지 않거나 활용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단군은 우리의 실증역사이며 주변국과의 교류에 의한 곰족, 호랑이 족이 분명함에도 사람들은 아직도 단군 신화라고 말을 하듯이 우리의 영역인 ‘홍산 문화’, 가야, 부여 역사가 깊이 연구되지 않았거나 제대로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민간 연구기관을 통해 상시 연구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고 널리 홍보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새마을 운동은 우리 마을을 깨끗하고 편리하게 바꾸어준 것은 인정합니다. 하지만, 우리의 정서, 자연관, 전통문화를 우리 손으로 없애버린 희한한 일이었습니다. 단군 시대부터 존재하던 홍익사상부터, ‘밝 사상’, 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나는 ‘천지인 사상’, ‘토정비결’, ‘민간사상’에 이르기까지 ‘탈무드’처럼 국가가 인정하는 책이 발간되고 두루두루 알려지면 좋겠습니다. 2, 문화유산의 현대적 활용 유 무형의 문화유산은 복원, 보존의 형태로는 잘 운영되고 있지만, 활용 측면에서는 부족합니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우리의 유산은 조선 시대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현대적 일상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선조들이 남긴 소중한 유산, 현대인들은 어떻게 발전시켰는지 조상님들께 밝혀드려야 합니다. 개인 또는 작은 단체가 활용하려고 해도 관련 연구가 미흡하거나 그대로는 현실에 적용하기가 어렵습니다. 문화유산을 현대에 활용할 수 있는 방향(예)을 몇 가지 들어보겠습니다. 첫째, 한옥입니다. 한옥이 세계적으로 갖는 유일 가치는 온돌에 있습니다. 현대생활에 모든 한옥을 장작 때면서 운영할 수는 없겠지만, 몇 채만이라도 온전한 가치만은 전달할 수 있길 바랍니다. 균일난방은 이중 구들, ‘亞자형’ 구들 등을 활용하여 개선할 수 있으며, 숯, 태운 왕겨 등을 연구하여 단열에도 신경 쓴다면, 자연 그대로의 한옥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며 우리의 유일 가치를 보존, 홍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둘째, ‘한 소리’입니다. 우리가 종종 들을 수 있는 소리는 병창, 판소리 등이지만 일반 백성의 소리도 참 많습니다. 작곡, 편곡가를 통해 세계의 소리로 발전할 수 있는 연구, 환경제공이 필요합니다. 풍물도 유사합니다. 우리는 꽹과리를 축으로 소리를 내지만 무려 5천 년 동안 화음이 없었습니다. 북, 장구, 징 등 모든 풍물은 두드리거나 당겨서 소리를 조절하기 때문에 화음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수백 대의 ‘화음 풍물’이 품어내는 소리를 듣고 싶습니다. 호남지역에는 기(旗, 곰과 호랑이를 그린 붉은 기)를 가지고 노는 풍습이 ‘깃절놀이’, 기접놀이‘, 깃고사’, ‘기세배’ 등의 이름으로 존재합니다. 수백 명이 휘몰아 피는 풍물과 깃발은 야외 공연장, 야구, 축구 등에서 훌륭한 응원문화와 접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악기 또한 그렇습니다. 기타처럼 들고 치는 가야금, 거문고는 왜 없을까요. 셋째, ‘한 설화’입니다. 일반 백성들이 전한 이야기 중에는 ‘로미오와 쥴리엣’이상의 이야기들이 수도 없이 전합니다. 하지만 영화, 연극, 뮤지컬 그 어디에도 활용되지 못한 채 우리들의 이야기는 묻혀있습니다. 넷째, ‘한 서예’, ‘한국화’입니다. 동북이 공유하고 있는 문화이긴 하지만 우리에게는 한글이 있고, 문방사우가 있어서 세계적인 예술로 승화하기에 적합한 분야이나 아직은 그러한 작가가 탄생하지 못했으며 서양에는 제대로 전하지도 못했습니다. 준비가 미흡하다고 판단합니다. 재료학적 측면에서 볼 때 그을음 입자 크기와 한지의 질(고운 종이부터 거친 종이까지)에 따라 그 표현이 다양할 수 있고 특히 서양에서 전해 온 판화처럼 순수자연을 활용한 ‘탁본 예술’도 상상할 수 있겠으나 시도한 사람이나 조직은 매우 미흡합니다. □ 나가는 글 농어촌지역, 소도시가 점점 소멸에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지방은 저마다의 독특한 문화가 존재합니다. 우리 문화의 뿌리를 깊이 있게 연구하고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다면 진정한 한류의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음은 물론 지역 가치를 통한 균형발전도 이루리라 생각합니다 고맙습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