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정부출연연구소(이하 정출연) 원장의 임명은 주로 대통령이 직접 임명합니다.
외부 조직원(특히 대학교수)을 원장으로 임명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내부 조직원(노조 포함)들의 의견을 수렴하거나, 이견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문제
조직 내부 신임이나 리더십 보유 여부와 상관없이,
개인의 정치적 능력을 통해 원장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로 인해, 원장은 (조직을 위해 일하지 않고)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위해 일하게 됩니다.
개선
정출연 원장 선임이 내부 조직의 의견이 수렴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해야 합니다.
방안
1안. 후보자 등록시, 내부 조직의 00명(또는 0%) 이상의 추천서 필수
2안. 최종 후보그룹 선정시, 내부 조직의 의견 수렴 (예, 투표)
3안. 최종 원장 후보 선정 후, 내부 조직의 의견 수렴
4안. 최종 원장 임명 후, 내부 조직의 의견 전달 (가장 소극적인 방법)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