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현재 많은 청년들이 임대주택 알아볼려고 하는데 대체어느사이트에서 신청해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냥 한 사이트에 모아 간편하게 신청하면 좋겠습니다. 서류는 신청하면 공무원이 알아서 전달받아 준비하고요.
정책제안 내용
1. 청년 임대주택 신청 절차 간소화 및 통합 플랫폼 구축
현재 청년들이 행복주택, 역세권 청년주택, 매입임대, 전세임대 등 다양한 주택을 신청할 수 있지만 제도별로 사이트가 다르고 신청 절차도 복잡하여 정보 접근성이 떨어집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국토교통부 또는 LH가 주관하는 '청년주거 통합 신청 포털'**을 구축하여,
본인인증 → 자격 확인 → 지역 선택 → 청약 가능한 임대주택 목록 열람 → 한 번에 신청까지 가능한 **'원스톱 시스템'**을 도입해야 합니다.
정부24, 복지로, LH청약센터 등 분산된 기능도 통합해야 합니다.
2. 공실(빈집) 및 미임대 민간월세방 정부 매입 확대
지방과 서울의 일부 지역에는 미입주 상태인 원룸, 다가구, 도시형생활주택 등 공실이 많은 상황입니다.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해당 물건을 저가로 매입하거나 리츠(REITs) 방식으로 운영하여 청년 공공임대주택으로 전환하는 사업을 확대 추진해야 합니다.
예: “도심 빈집 청년주택 전환 프로젝트”
이 정책은 건설 비용 부담 없이 빠르게 공급을 늘릴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입니다.
3. 지자체와 협력해 홍보 강화
청년들에게 알리는 것도 중요합니다. SNS, 학교 커뮤니티, 유튜브 광고 등을 활용해 “지금 신청 가능한 청년주택 리스트”를 정기적으로 알려야 합니다.
정책 기대 효과
청년들이 집 걱정 없이 일자리를 찾고 결혼도 준비할 수 있음(출산율이 늘어납니다)
공실률 문제 해소 및 지역경제 활성화
정보 격차로 인한 기회 상실 방지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