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최근 결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웨딩 산업 전반의 불합리한 관행을 경험하고 있는 소비자입니다.
직접 알아보고 다양한 사례들을 찾아본 결과 이는 단순히 일부 업체의 문제를 넘어섰습니다.
'웨딩'이라는 단어가 붙으면 추가금이 붙는다 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비슷한 품질의 제품과 서비스도 결혼식에 사용되면 과도하게 가격이 책정되고 있습니다.
이 같은 문제는 소비자의 합리적인 선택을 제한하고, 결혼을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과도한 경제적 부담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이에 웨딩 산업 전반의 관행 개선과 소비자 권익 보호를 위한 정책 개선을 요청드립니다.
-‘웨딩 프리미엄’으로 부풀려진 비용 구조
웨딩이라는 명목으로 드레스·메이크업·스튜디오·예식장·부대 서비스 등 전 분야에서 과도한 비용이 책정되고 있으며, 동일한 제품이나 서비스도 ‘웨딩용’이라는 이유로 일반 가격보다 수배 이상 비싸게 판매되는 사례가 빈번합니다.
-소비자 선택권 제약 및 업계 담합 의혹
웨딩 업계 전반에 걸쳐 동일한 방식의 가격을 책정하고 '필수 추가 항목'으로 사실상 구매를 강요하고 있습니다.
특히 예식장 계약금·위약금, 드레스 옵션 비용, 식대 추가금 등에서 불합리한 가격을 인지하여도 '일생에 단 한번의 행사'라는 이유로 대부분의 예비 부부들은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비용을 지불할 수밖에 없습니다.
예식장을 계약하는 경우에는 계약이 수개월 이상 남았더라도 계약을 변경하거나 철회하면 재료 구매조차 이루어지지 않았을 시점에도 식대 비용까지 전액 물어야 하도록 계약서를 작성하도록 하고 있으며,
예식 도우미, 헬퍼, 플라워샤워 등 결혼식의 필수 요소가 아니어도 별도 금액을 지불하여 '필수로 추가'해야 합니다.
이는 업계의 암묵적 담합 구조로 의심될 소지가 있습니다.
-불투명한 계약·비용 구조와 소비자 기만 요소
다양한 서비스에서 느끼지만 또 예를 들어보자면 웨딩 사진 촬영 시에는 최소 수백만원대의 큰 비용을 지불하지만 소비자는 자신이 찍힌 원본 사진조차 별도로 구매해야 합니다.
이미 촬영 비용을 지불했음에도, 그 결과물인 원본 사진과 앨범에 실리게 될 수정 사진을 별도로 구매해야만 열람 또는 소장 할 수 있는 방식은 다른 사진 촬영 서비스에서는 보기 힘든 구조입니다.
또한 앨범에 실리는 사진을 선택하는 과정에서도 소비자는 '직접 방문'하여 '제한된 시간 내에' 사진을 골라야 하며 이 과정에서 추가 페이지 구매를 압박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드레스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피팅비'를 별도로 지불 해야하며, 일부 업체에서는 '디자인 유출 우려'라는 이유로 사진 촬영조차 허용하지 않아 소비자가 기억을 더듬어 드레스를 그림으로 비교해야 하는 상황까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웨딩 준비 과정 전반에 걸친 이러한 관행들은 소비자가 충분한 정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선택을 할 권리를 심각하게 침해하며, 소비자를 기만하는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와 같은 행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웨딩 촬영, 드레스, 메이크업, 예식장 등 모든 계약 항목에 대해 소비자가 사전에 비용과 포함된 서비스를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표준계약서에 의무적으로 기재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또한 소비자가 필수적으로 지불해야 하는 비용과 선택 가능한 옵션 비용을 명확히 구분하도록 하여, 옵션 강매나 현장 추가요금 유도를 방지하여야 합니다.
‘웨딩 프리미엄’으로 인한 과도한 가격 부풀리기를 억제하기 위해 업계별 평균 가격을 조사·공개하고, 원가 대비 합리적인 가격 산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합니다.
위와 같은 개선방향에서 초기 가격이 일괄적으로 높게 책정되는 부작용이 생길까 우려되기도 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공정거래위원회의 꾸준한 모니터링도 함께 이루어저야 할것입니다.
결혼 준비 과정은 시작부터 상당한 심리적·경제적 부담이 따릅니다. 저 역시 부담감 때문에 결혼 여부를 오랜 기간 고민했고, 실제 준비 과정은 예상보다 훨씬 어렵다고 느꼈습니다.
조금만 살펴보아도 많은 예비부부들이 웨딩 준비에 들어가는 비용을 불합리하다고 생각하면서도 어쩔 수 없이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러한 과도한 부담은 결혼을 늦추거나 포기하게 만들고, 나아가 출산까지 미루게 하는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저의 제안이 웨딩산업의 건강한 발전과 예비부부들의 부담을 줄일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