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경남 산사태 취약지역’ 무용지물…공개도 않고 예방도 허술

지난 19일 폭우로 3명이 숨진 경남 산청군 부리마을입니다. 마을 뒷산은 꼭대기부터 순식간에 무너져 내렸습니다. 지난해 5월 경상남도가 작성해 행안부에 제출한 '경남 산사태 취약지역' 보고서입니다. 2천 3백여 곳을 지정해 대피소까지 안내하고 있는데 피해가 컸던 부리마을도 포함돼 있습니다. 하지만 마을 주민들은 뒷산이 '산사태 취약지역'인지, 대피소는 어디인지 모르고 있습니다. [주유숙/경남 산청군 부리마을 주민 : "그런(산사태) 걱정은 한 번도 안 해 봤어요. 왜냐하면 한 번도 여기 이쪽에서 산사태 같은 게 안 일어났으니까…."] 경상남도는 취약지역을 정리하고도 개인정보 노출, 땅값 영향 등을 이유로 제대로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경상남도 공무원/음성변조 : "산사태 정보 시스템이 공개가 안 되고 있는데, 재산상에 이걸(산사태 취약지역) 공개하면 땅값의 문제나 이런 게 있어서…."] 심지어 산청군 담당 공무원조차 지정 사실을 모르고 있었고, 이에 따른 예방 점검도 없었습니다. [경남 산청군 공무원/음성변조 : "부리는 산사태 취약(지역) 지정한 데가 아니라는 겁니다. 일반 산을 다 점검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닙니다."] 이번 산청 집중호우로 숨진 12명 가운데 8명이 산사태로 무너진 집에서 발견된 상황, 인명피해가 발생한 5곳은 경상남도가 파악한 산사태 취약지역 일대였습니다. KBS 뉴스 진정은입니다. 촬영기자:이하우 김대현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310496 근데 산사태 주의보 문자나 그런것들도 받을것입니다. 경남도민들이여! 그리고 또 여기서는 문자를 받았지만 통제를 안하는 것이죠 혹시나모를 대비로 해야합니다. 그리고 또 여기서는 잠깐! 산사태 주의보라고 국가에서 발령했을것이고 그리고 주민들이 신고를 했을것이고 근데 공개도 않고? 예방도 허술 -> 그거잖아 만일 산사태 발생하면 ? -> 우리 동네에 안살것이고 그리고 발전력이 떨어질것이다 생각을 하고는것이지 고로 너의 그 악함을 지워라 대피 먼저야 인간이 없다면 모든 재산도 없다. 그리고 이미지 나빠진다고 해서 패쇄주의 응용하자면 숨기는것이지 그게 너야 악한 경남도민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