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현 교육과정 중 <민주정치교육>의 확대 • 신설 제안

현 대한민국의 초•중•고 교육 (이하 중등교육)에서 정치교육은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매우 유감스럽게도 그나마 있는 교육 또한 '투표해야된다.' 는 어젠다 이외의 도움을 주지 못 합니다. '정책은 어디서 보지? 사상이 뭐지? 각 정당이 가지는, 표방하는 사회의 방향이 뭐지?' 와 같은 우리 삶에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청소년들이 보다 더 흔히 가질 수 있는 질문에 답하여 주지 못 합니다. 이러한 교육의 부재는 그나마 정치에 관심을 가지는 청소년들에게 대부분 인터넷으로 말미암아 자신의 정치 사상에 영향을 끼치고, 표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절대 좋은 현상이 아닙니다. 인터넷에서 생산적 정치활동을 이루는 현상을 보기 드뭅니다. 인터넷으로 정치를 배운 청소년들이 생산적 정치활동을 이룰지 의문입니다. 그들이 극단적 정치사상을 갖게 되는 현상을 보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 입니다. 이는 궁극적으로 우리 사회의 분열을 초래합니다. 그렇다면 과연 우리는 어떠한 방법으로 이러한 정치적 극단화를 막을 수 있는가? 답은 정해져 있습니다. '교육' 입니다. 이러한 교육으로 말미암아 아이들의 정치적 극단화를 막아야합니다. 물론 우려도 존재합니다. 흔히 '리박스쿨' , '전교조' 와 같이 교육에 정치적 메시지를 끼워 넣는 행위는 절대 용납될 수 없을 것 입니다. 그러나 구더기 무서워 장을 못 담구면 안 됩니다. 학교는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하는 곳은 맞습니다. 그러나 정치에 대해 침묵해야 하는 곳은 아닙니다. 아이들에게 <디지털 리터러쉬>, <각 정당의 사상>등에 대해 교육하여 제가 생각하기에 '바람직한 중도' 로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바람직한 중도는 '동아일보' 와 '한겨레' 를 함께 볼 수 있는 사람입니다. 두 정치 사상을 두고 진리를 찾을 수 있어야 하는 사람입니다. 학생들은 정치에 무관심하지 않습니다. 중등교육기관은 대학을 보내기 위한 학교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민주 시민을 양성할 수 있는 기관이 되어야 하고 우리 사회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사람을 양성할 수 있어야 하는 기관이 되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