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의사를 공무원으로 선발하는 것을 제안합니다.

1. 의사를 지방공공의료 수요를 측정하여 국가에서 충분한 숫자로 혹은 전원 선발합시다. A. 학부 졸업생 중에서 의대 커리큘럼을 따라 갈 수 있는 수준인지 측정 가능한 공정한 정량평가와 지역 안배를 통해 먼저 선발합니다. B. 선발된 인원들은 국가가 설립할 공공의대나 거주지 인근 의과대학에 파견하여 위탁교육을 시킵니다. C. 졸업과 의사면허증을 교부받으면 인턴 등 일정기간 수련을 합니다. D. 공무원 신분으로 정치파업에 참여할 수 없으며 의학 커리큘럼에 충실히 따를 의무가 있습니다. E. 대신 학비를 전액 국가에서 부담합니다. F. 군의관의 경우 국방의과대학(가칭)을 설립하여 유사하게 양성할 수 있습니다. 2. 의무기간(10~20년) 동안 국가에서 배치한 공공 병원과 보건소에서 근무합니다. A. 의무 기간 동안 국가의료 방역사업에 안정적인 수의 의료 자원을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B. 이들은 당연히 공무원 신분으로 정치파업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C. 의무 기간 직후 자유롭게 개업을 하더라도 의무 기간 동안 안정적인 활동을 하는데에 충분한 의미가 있습니다. D. 의무 기간 중에 무단으로 개업할 경우 의료면허를 정지시킬 수 있습니다. E. 혹은 지원한 학비 전액의 몇 배를 벌금으로 징벌적으로 부과할 수 있습니다. F. 군의관, 의료 군무원 자원으로 스위칭 하여 양성할 수 있습니다. 현재 의사는 오로지 개인의 직업 선택의 자유를 통해 양성 되고 있으며, 주로 서울 등 대도시 중상위계층 자녀들이 지방 의대 정원까지 차지하는 현실로 볼 때, 의사 대부분에게 아무리 큰 재정적 지원을 주더라도 지역의료에 참여할 동기가 거의 없습니다. 현재의 의사 양성 체제로는 신분 세습의 도구로서 역할이 강조될 뿐이며, 4세 고시 같은 비틀린 사교육의 등장도 이러한 의대 입시 교육으로 인한 부작용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대학 학부 평준화, 등록금 무상화, 전원 기숙사 생활 법제화, 로스쿨과 같이 의대,치대,한의대,약대,수의대,교대의 100% 학사편입 제도를 통합 선발 등 교육개혁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있습니다만 일단 의료 공공성 재고, 지역 의료 활성화 방안을 우선해서 제안코자 하오니 하루 빨리 검토되고 도입되길 기원합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