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절약형 비상구 표시등 개발 및 상용화 전략
1. 제품 설명 및 차별성
가. 방사선동위원소인 삼중수소(H-3)에서 방출되는 베타선을 이용하여 스스로 빛을 내는 소재인 삼중수소 자발광체를 활용한 지시등
나. 특징 및 차별성
- 안전성 : 외부상황에 관계없이 정상 동작하여 피난 유도 기능 유지
- 경제성 : 별도의 배선공사가 없어 설치비용 절감 / 약 10년의 긴 수명으로 유지보수 비용 절감
- 친환경 : 에너지 절약 효과 / 배터리 미사용으로 환경적 영향 감소
2. 시장 현황
가. 미국, 캐나다, 홍콩 등에서 제도적 사용이 허용되고 있으며, 2021년 기준 자발광형 유도등 시장은 2,450만 달러 규모에서 2031년
3,08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어 연평균 2.3% 성장하는 시장임.
나. 국내에 전례가 없는 제품으로 상용화 시, 연간 약 1000억원 규모의 신규 시장 창출 기대. (국내 유도등 시장 규모 약 1,000억원)
3. 사업성
가. 미국 규정의 강화로 무전원 비상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피난 유도가 가능한 "에너지절약형 비상구 표시등"이 전 세계적으로 주목
받음에 따라, 원자력선진국인 우리나라가 선도적으로 개발할 경우 전세계 시장의 일류 국가가 될 수 있음.
나. 미국 개별 주(State)에서는 에너지 절약 건물 설계(LEED) 기준에 따라, 에너지절약형 비상구 표시등이 우선적용되고 있어,
삼중수소 생산이 가능한 우리나라는 원자력기술 유용성 확대와 물류비용 절감 부문에서 큰 성과를 낼 수 있음.
4. 실증 목적
가. 유도등의 설치 기준에 따라 에너지절약형 비상구 표시등을 실증 구역 내 설치 운영하여 성능, 기능 및 안전성 검증 하고자 함
- 병원 및 교육시설 등 실제로 전세계에서 설치 되어 운영중인 건축물.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