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원양 태양광 기반 부유식 탄소중립 연료 생산 플랜트 구축사업 제안(부제:그린수소·그린암모니아·CO2 포집 E-fuel 생산을 위한 재생에너지 자립형 해양 연료공장 모델)

2017년 광주과학기술원(GIST) 에너지밸리기술원 지원으로 해양 공간을 활용한 태양광 기반 리튬 추출 기술을 기획한 바 있습니다. 이 초기 구상을 더욱 발전시켜, 부유형 해양 플랜트를 통해 “그린 수소 생산”, “그린 암모니아 합성”, “이산화탄소 포집 기반 e-Fuel 생산”까지 포괄하는 해양 재생에너지 융합 시스템 실증사업을 제안합니다. 본 사업은 공해상 및 원양 해역의 미활용 해수면을 국가 에너지 자산으로 전환함으로써, 「K-해양 재생에너지 산업」의 실증과 수출형 모델 확보, 그리고 해양 에너지 주권국가로의 도약을 실현하는 기틀이 되면 좋겠습니다. 1. 배경 - 전 세계는 탄소중립 실현과 에너지 안보 강화를 위해 재생에너지 기반 수소 및 e-Fuel 생산 체계 구축에 주목하고 있음 - 해양은 넓은 활용 가능성과 태양광, 풍력, 파력 등이 풍부한 곳으로 차세대 재생에너지 실증 및 연료 생산의 핵심 공간으로 부상 중 - 유럽, 일본, 중동 등 주요국은 해양 재생에너지 기반 연료화 기술의 실증 추진 중 - 우리나라는 에너지 자급률이 낮고, 대부분의 화석연료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해양 공간을 활용한 자립형 에너지 생산 능력 확보가 필요함 - 특히 우리나라의 배타적 경제수역(EEZ) 및 공해상 해역은 향후 국가 에너지 주권 확보의 전략적 자산으로 주목됨 - 제안자는 2017년 GIST 에너지밸리기술원 지원으로 해양 부유형 태양광 기반 리튬 추출 기술에 대한 기획을 추진한 바 있음 - 이전 기획을 더 발전시켜서 K-해양 강국 프로젝트로 추진에 사용하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공개 제안함 2. 문제점 o 해양 공간 활용의 제도적 제약 - EEZ 및 공해 해역을 활용한 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 관련 법·제도 미비 - 연안 중심의 발전사업 위주로, 원양/공해상의 산업적 활용모델 부재 - 해양 에너지 개발을 위한 국가 간 협력체계 및 관리기준 부족 o 기술 실증 및 인프라 부족 - 부유식 해양 태양광, 접이형 태양광 모듈, 해양에서 수전해/CO2포집 플랜트 등에 대한 국내 실증 사례 거의 없음 (기술개발은 일부 진행 중이나 통합 운영 실증 부족) - 해양 조건(염분, 태풍, 파랑 등)에 적응 가능한 장기 내구형 시스템 부족 -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과 그린수소/그린암모니아 연계 실증 미진 o 에너지 안보 및 주권의 해양으로 확장에 대한 인식이 부족함 - 해양을 에너지 자산으로 인식하는 정책적 시각 미흡 - 연안 외 해역(공해·원양)을 ‘활용 가능한 국토’로 전환하려는 전략 부재 - 글로벌 에너지 주도권 경쟁 속에서 대한민국의 해양에너지 외교·수출 전략 미비 3. 제안 내용 o 법·제도 기반 마련 및 국제협력 프레임 구축 - 공해·EEZ 활용 관련 법령 정비 및 해양 에너지 공간구획 제도화 추진 - IMO, IRENA 등과 협력하여 공해상 청정에너지 공동개발/관리체계 논의 주도 o 공해상 기반 해양 재생에너지 연료 플랜트 실증사업 추진 - EEZ 외곽 및 공해 해역에서 실증할 수 있는 태양광 기반 부유식 에너지 생산 플랫폼 구축 - 플랫폼 구성 내역 · 정격 출력 2MWh의 접이형 구조의 태양광 모듈 (100m × 50m) · CO2 캡처를 위한 DAC 장치 · 수전해 장치 및 e-메탄올(CH₃OH) 등 e-Fuel 생산 장치 · 태풍 등 기상 위험 회피 가능한 바지선 형태 구조물 - AI 기반 해양 플랜트 자율 운영 및 연료 생산 최적화 시스템 구축 · 실시간 기상 데이터, 파고, 태풍 경로 등을 AI가 분석하여 태양광 모듈 자동 접이/이동·대피 경로 예측 및 제어 · 에너지 저장·이송·판매 전략 자동 최적화 ·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으로 가상공간에서 플랜트 운영 조건 시뮬레이션 및 고장 예지 유지보수 수행 · 광주광역시 AI산업과 연계 o 모듈형·수출형 플랜트 수출 모델화 - 바지선 기반 혹은 접이형 모듈식 구조로 설계하여 이동형·확장형 시스템 구축 및 반복 제작 가능 - 향후 중동·동남아 등 해양 에너지 수요국 대상 수출 산업화 추진 4. 기대 효과 o 해양 에너지 주권 확보 및 국가 전략 자산화 - 미활용 공해상 및 EEZ 외곽 해역을 활용한 재생에너지 실증으로 K-해양재생에너지 전략의 구체적 실행 기반 확보 - 바다 위에서 직접 연료를 생산·저장·수출하는 시스템 구축 에너지 수입국에서 청정에너지 수출국으로의 전환 촉진 o 산업 고도화 및 수출 산업 기반 확보 - 접이형 태양광, 부유식 구조, 연료 변환 시스템의 표준화로 수출형 해양 플랜트 산업 모 델 창출 기대 - 전남을 해양 재생에너지 기지화하고, 광주광역시 AI 산업과 연계하여 미래 먹거리 및 고급 일자리 창출 기대 - 실증을 통해 해양수산부·산업부 공동 주도의 “해양 재생에너지 플랜트”의 국가전략사업화 가능성 확보할 수 있음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