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효율적 유통 혁신을 위해 각 시·군 단위의 분산적 앱 개발이 아닌, 광역권(복수의 광역시·도) 연합 체계를 통해 전국 단위 논리적 유통 통합망을 구축하고, 주문 접수 시 소비자와 가장 가까운 전통시장에서 자동 주문·배달이 이뤄지는 통합 배달앱을 운영하는 사업방안을 제안합니다. 이를 통해 개발비와 운영비용을 대폭 절감하고 지역경제 활성화 및 시장경쟁력 제고의 실질적 솔루션을 마련합니다.
* 전국 157개 시군이 각각 소규모 배달앱을 개발할 경우 23억~31억원 이상 예산이 소요되는 반면, 전국 단위 통합플랫폼은 1억~10억원 내로 예산을 1/20 이상 절약할 수 있습니다. 대규모 통합 플랫폼은 이용자 기반을 획기적으로 확대하고, 논리적 주문 시스템을 통해 소비자의 구매가 자동으로 가장 가까운 전통시장에서 이루어져, 지역경제가 자연스럽게 활성화됩니다.
-----------------------------------------------------------------------------------------------------------------------------
제안 배경
* 시군별 배달앱 분산 개발은 예산 중복, 기술력 분산, 서비스 단절, 시장성 제약 문제를 야기하고 있음.
* 전국적 통합플랫폼 구축 시 개발·운영·유지관리비를 대폭 절감하는 한편, 대규모 이용자 집결 효과로 상업성 역시 배가됨.
* 논리적 주문 기반 시스템은, 소비자가 주문 시 위치정보를 활용해 자동으로 가장 가까운 전통시장에 주문이 연결되도록 하여 배달비 절감과 지역 유통 활성화를 동시에 실현함.
* 기존 내고향장터 사업제안서 등 실증사례에 따르면, ICT 논리적 통합 플랫폼이 지역 전통시장의 온·오프라인 유통 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추진 방안
* 전국 통합플랫폼(최고급) 일괄 개발:
- 1억~10억원 예산에 전국 157개 시군의 수요를 흡수할 수 있는 최고급 통합플랫폼을 일괄 구축
- 주문-결제-배송-데이터 관리까지 단일 시스템으로 집약, 소비자·상인·배송자 등 모든 이해관계자 참여 구조 설계
* 논리적 주문·매칭 시스템 구현:
- 소비자 위치 기반 자동주문으로, 가장 가까운 전통시장·상점에서 주문을 접수하고, 지역 배송망(자활센터·사회적기업 등)과 연결
- 묶음배송, 공동배송, 정기배송 등 물류 효율화 기능 도입
* 운영과 데이터의 표준화 및 공동 활용:
- 전국 단일 브랜드·플랫폼으로 다양한 지역 전용 메뉴, 마케팅 기능 포함
- 판매·구매·배송 데이터 통합분석을 통한 상권지원, 정책 관리, 지자체 협력체계 운영
* 통합 마케팅 및 일자리 연계:
- 전국 브랜드 협력·공동마케팅 추진, 지역자활·사회적기업 참여로 노동시장 및 소득 순환 효과 강화
* 유지관리 및 확장성 보장:
- 단일 플랫폼 고도화·유지·보수 체계를 두고, 신시장·신상권·신기능(예: 큐레이터 서비스 등) 지속 도입
기대효과
* 시군별 23억~31억원 개발비 소요 대비, 전국 통합시 90% 이상 예산 절감 및 전국민 접근 플랫폼 구축
* 소비자 풀 집약(약 25배 이상) 및 전국상권 연결로 시장성·효율성·마케팅 효과 극대화
* 논리적 주문·자동배달 시스템 도입에 따른 실질적 지역 매출 증대와 지역유통 경쟁력 강화
* 지역 배송망(자활, 사회적기업 등) 활용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지역자본 선순환 실현
* 공동브랜드 마케팅·데이터 표준화를 통한 신뢰도, 서비스 품질, 정책 실행력 동시 제고
참고자료
* 내고향장터 사업제안서, ㈜내고향장터, 2013
*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배달앱 및 유통 혁신 방안 연구」, 한국유통학회, 2023
* 「지역기반 온라인 유통체계 구축 사례 분석」, 중소벤처기업부, 2024
* 「지방자치단체 통합배달서비스 추진 매뉴얼」, 국토교통부, 2023
* 서울시경제진흥원, 「지역배달플랫폼 성공사례 및 정책적 시사점」, 2023
추가 아이디어
* https://crowdsourcing.tistory.com/
* http://gamechanger.or.kr/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