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2026년 최저임금 분석

1단계: 표준생계비란? 표준생계비는 노동자와 그 가족이 인간다운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생활비를 의미합니다. 최저임금위원회에서는 이 생계비 수준을 참고하여 최저임금의 하한선으로 고려합니다. 2단계: 기준 선택 및 정리 2018년 기준, 1인 가구 표준생계비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표준생계비 세전생계비 비고 한국노총 2,189,860원 1,970,810원 11개 항목 기준 민주노총 2,932,058원 2,400,862원 12개 항목 기준 3단계: 연도별 상승률 적용 (2018 → 2026) 최저임금 연도별 인상률 정리 (2018~2025) 연도 시급 월환산액(209시간 기준) 인상률 2018 7,530 1,573,770 - 2019 8,350 1,745,150 10.9% 2020 8,590 1,794,310 2.9% 2021 8,720 1,823,840 1.5% 2022 9,160 1,914,440 5.0% 2023 9,620 2,010,580 5.0% 2024 9,860 2,061,740 2.5% 2025 10,200 2,131,800 3.4% 누적 인상률(2018~2025): 약 35.4% 4단계: 2026년 표준생계비 예측 기존 생계비(2018 기준)에 누적 인상률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한국노총 기준 2018년 생계비 (세전): 1,970,810원 2025년까지 누적 인상률: 35.4% 2026년 예상 생계비 = 1,970,810 × (1 + 0.354) ≒ 2,668,201원 ▶ 민주노총 기준 2018년 생계비 (세전): 2,400,862원 2026년 예상 생계비 = 2,400,862 × (1 + 0.354) ≒ 3,249,505원 5단계: 2026년 최저임금 시급 환산 209시간 기준으로 시급 계산: 기준 생계비 월 기준 시급(2026년 예상) 한국노총 2,668,201원 월 기준 약 12,765원 민주노총 3,249,505원 월 기준 약 15,543원 ✅ 최종 정리 2026년 한국의 적정 최저임금 예측 (1인 가구 기준) 구분 월 기준(209시간) 시급 기준 한국노총 기준 약 2,668,200원 약 12,765원 민주노총 기준 약 3,249,500원 약 15,543원 이렇게 분석이 되는데 2026년 최저임금에 반영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