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live/2EKD3QgeHok?si=eU8xnd_cA6YrqzB9
-> 이건 천안 전기차에요 .
미국에서 현대차 리콜 사태의 주요 원인은 엔진룸 화재 위험, ABS 모듈 오염, 그리고 ICCU(통합 충전 제어 장치) 결함 등입니다. 이러한 결함들은 차량의 안전성과 직결되는 문제로, 리콜을 통해 소비자 안전을 확보하려는 조치입니다.
-> 그리고 또 현대차는 리콜 사태가 있답니다.
어쩌면 여기서는 현대차 혹은 중국차 일가능성이 있습니다.
중국은 전기차 보급 대수가 훨씬 많아 절대적인 화재 건수는 한국보다 훨씬 많습니다. (일부 보도에 따르면 연간 수백~수천 건). 하지만 전기차 보급 대수 대비 화재 발생률은 최근 감소 추세에 있으며, 2023년 기준 1만 대당 0.96건으로 한국보다 약간 낮습니다. 주로 배터리 관련 화재가 많아 안전성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근데 여기서는 베터리 즉 LG
일부 국내 보도에 따르면, LG 에너지솔루션 배터리가 탑재된 차량에서 누적 화재 건수가 가장 많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이는 LG 에너지솔루션이 국내외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예: 6년간 43건, 또는 누적 55건 이상으로 전체의 절반 이상)
그 다음으로는 SK온 (20건 이상), 삼성SDI (수 건) 순으로 언급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는 단순히 화재 건수이며, 판매 대수 대비 화재 발생률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거래요 그러면 혹시 베터리 제조 할때 여기서는 잠깐! 냉각쿨러든 뭐든 시스템의 개선이 있었습니까? 음...
그러면 오늘날 현실은 리튬이 온도에 의거해서 열 폭주(Thermal Runaway)을 한다면 화재 사건이 급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lik 아리셀
글면 약간의 냉각 쿨러든 뭐든 시스템이 구축해야하는데 그다지 부족한거 같습니다.
그리고 현대차 급발진, 그리고 기계결함 등등 문제 많은데 오늘날 교통사고 중 절반은 급발진으로 하는 사고가 많습니다.
리콜 할까요? 아니면 보이콧할까요?
시스템, 안전 관리 , 등등 잘 갖추십시오.,
그리고 또 여기서는 전기차 관련된 시스템 공정을 좀 많이 바꿔야할때입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