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안 배경 및 목적
국정과제 연계성: 정부의 탄소중립·RE100 이행 목표 달성을 위해, 공공기관 및 민간의 재생에너지 생산량 정확 집계가 필수적입니다.
문제점: 현행 가정용 태양광 패널 발전량은 자체 소비 중심으로 측정되고 있으며, 그리드 연계 데이터가 단절되어 RE100 보고에 활용하기 어렵습니다.
제안 목적: IoT 전력 모니터링 기술을 역방향으로 활용한 무배선 발전량 계측 장비를 도입하여, 가정용 태양광 생산 데이터를 RE100 공식 통계로 활용하도록 제도화합니다.
2. 주요 제안 내용
IoT 기반 발전량 계측 장비 개발 및 도입
플러그형 스마트 모듈:
집의 일반 콘센트에 꽂아 쓰는 플러그 형태로, 그 사이에 전력측정 회로가 내장된 모듈을 삽입하여 기존 가전제품의 전력사용량을 측정하듯이 반대로 가정용 소규모 태양광 패널의 발전량을 측정합니다.
내부 ADE7758 등 양방향 전력측정 IC가 플러그 앞뒤 전압·전류 차이를 계산해 kWh 단위로 기록
Wi-Fi 또는 Bluetooth(BLE) 모듈로 실시간 데이터 전송, 스마트폰 앱에서 발전량 확인 가능, 국가기관이 총발전량을 집계
기존 IoT 전력 모니터(스마트 플러그·CT 클램프) 기술을 역방향 측정용으로 적용
Split-Core CT 또는 비접촉 전류 센서를 활용해 패널 출력선 클램프로 설치
양방향 전력측정 IC(ADE7758 등) 및 BLE/Wi-Fi 모듈로 실시간 데이터 전송
기존 IoT 전력 모니터(스마트 플러그·CT 클램프) 기술을 역방향 측정용으로 적용
Split-Core CT 또는 비접촉 전류 센서를 활용해 패널 출력선 클램프로 설치
양방향 전력측정 IC(ADE7758 등) 및 BLE/Wi-Fi 모듈로 실시간 데이터 전송
RE100 보고용 데이터 연계
측정 장비에서 수집된 kWh 데이터를 MQTT/GATT 프로토콜로 국가 에너지 데이터 플랫폼에 자동 업로드
정부 시스템에서 인증·교정된 계량기 데이터로 분류하여 RE100 이행 실적으로 집계
인증 및 표준화
KC 안전·통신 인증 외에 클래스 1.0 공인 계량기 교정이 가능한 모듈 사용
IoT 장비 통신 인터페이스 API 및 데이터 형식(ISO 80000-7 등) 표준화
시범사업 및 단계별 확대
1단계(6개월): 시범지구 100가구 대상 설치·운영, 데이터 수집·검증
2단계(1년): 확장 시범지구 1,000가구, 플랫폼 연동 테스트
3단계(2년): 전국 공공임대주택·관공서 건물까지 확대 적용
3. 기대 효과
정확한 발전량 집계: 전력량 무선 전송·자동 집계를 통해 RE100 보고 오류 방지
설치 편의성: 클램프형 센서로 기존 배선 변경 불필요, DIY 설치 가능
비용 절감: 기존 상용 스마트 플러그 대비 하드웨어 비용 30% 이상 절감
4. 결론 및 요청 사항
위 제안을 통해 자가 소비로만 사용되던 가정용 태양광 패널의 생산 데이터를 RE100 이행 실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모듈 개발과 시범사업을 통해 정부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 및 데이터 기반 에너지 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을 요청드립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