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교육) ChatGPT 시대, 대한민국 교육의 대변혁

ChatGPT 시대, 대한민국 교육의 대변혁을 위한 전략 제안서 1. 제안 배경 대한민국 교육은 현재 선택형 입시 중심의 구조적 늪에 빠져 있습니다. 대학입시 병목현상, 줄 세우기 경쟁, 사교육 의존, 교권 붕괴와, 학교폭력 등 후진국형 교육현실은 미래 국가 경쟁력을 위협하는 수준입니다. 특히 수능 중심의 문제풀이 교육은 생성형 AI 시대에 더는 유효하지 않습니다. 챗GPT가 학생보다 빠르게 답을 생성하는 시대, 우리는 정답 중심 교육에서 질문 중심 창의교육으로 대전환해야 합니다. 2. 핵심 전략 : ChatGPT를 활용한 AI 기반 창의교육 체계 구축 (1) 교사의 역할 재정립과 연수 강화 교사는 ChatGPT를 교육 파트너로 활용해 개념 설명, 과제 생성, 학습 보조 등 다양한 활동을 설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교사 연수에 'AI 리터러시', '디지털 윤리', 'AI 수업 설계'를 포함하고, 교사 중심 커뮤니티를 통해 AI 수업 사례를 확산해야 합니다. (2) AI 튜터 기반 개인 맞춤형 학습 생태계 GPT 기반 AI 튜터는 학생의 학습 수준과 성향, 목표 맞는 경로를 설계하고, 피드백을 실시간 제공합니다. 이는 단순한 챗봇이 아닌, 학습 동반자로서 모든 학생에게 평등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학습격차 해소와 공교육의 복원에 핵심적 역할을 할 것입니다. (3) AI 기반 상상나무 스쿨 전국 확산 늘봄학교의 실패를 대체할 공교육 혁신 모델로서 '상상나무 스쿨'은 프로젝트 기반 수업, 지역 분권 창의수업, AI 창의랩을 통해 학생의 창의력, 협업,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합니다. 이는 AI 시대의 인재상 부합하는 교육 패러다임으로, AI 평가 시스템과 연계된 디지털 포트폴리오형 학습체계와도 자연스럽게 통합됩니다. (4) AI 학습보조 시스템 및 디지털 윤리 교육 AI 튜터는 학습 모니터링, 피드백 제공, 학습일지 생성 등에서 보조교사로 기능하며, 학생은 ChatGPT를 통해 스스로 학습을 계획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동시 비판적 사고와 디지털 시민성을 위한 정규 교육과정 내 'AI 윤리' 과목을 도입해야 합니다. (5) 고등·대학 교육과정의 전환 대학은 산업현장과 연계한 문제기반학습(PBL) 중심으로 개편하고, 교수들은 수업 콘텐츠를 모듈화하여 표준화된 온라인 학습플랫폼으로 제공해야 합니다. 오프라인 강의는 토론과 프로젝트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AI를 활용한 피드백과 성과측정 시스템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3. 기대 효과 및 정책적 파급력 (1) AI와 공존하는 교육체계 확립으로 디지털 격차 해소 (2) 정답 중심 → 질문 중심 교육으로 전환 (3) 사교육 의존도 감소 및 공교육의 질적 회복 (4) 창의력 기반 글로벌 인재 양성 (5) 교사 업무 경감 및 교육의 인간 중심성 회복 (6) AI 기반 국가 정책 설계에 교육 데이터 제공 기반 마련 (7) 정책 실현을 위한 제언 (8) 국무총리 산하 ‘AI 미래교육 혁신위원회’ 설치 (9) ‘AI 공교육 기본법’ 제정으로 교과·수업·평가 전환 명문화 (10) ‘전국 AI 교육 시범지구’ 지정 및 3단계 확산(시범→권역→전국) (11) K-12 단계별 ChatGPT 활용 수업모델 구축 (12) 초·중·고 정규과정 내 AI 리터러시 및 디지털 윤리 필수 편성 4. 결론 ChatGPT 이후 교육, 대한민국 대전환의 골든타임 우리는 지금 교육을 완전히 재설계할 기로 서 있습니다. AI가 지배하는 세상에서 인간의 교육은 질문, 상상, 창의력, 협업 중심 두어야 합니다. 그 중심, AI 기술을 수단으로 삼고, 사람을 교육의 목표로 삼는 철학이 자리해야 합니다.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는 지금, 이 대전환 달려 있습니다. 5. 제안자 : 박정일 전. 경기도교육연구원장 전. 한양대 컴퓨터SW학부 겸임교수 ChatGPT 시대에 묻는 교육의 미래 AX 교육혁명, AI 한국경영 시리즈 10권 저자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