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안 요지
지금까지 추진된 전일제 국가돌봄 정책은 서구의 실패 사례를 반복할 우려가 있습니다.
아동은 하루 대부분을 타인에게 위탁되는 환경에서 정서적 안정과 애착을 잃고 있습니다.
이제는 ‘가정’과 ‘부모’의 회복과 연대를 중심으로 한 돌봄 정책 전환이 필요합니다.
2. 배경 및 문제의식
ㅇ 무상보육, 늘봄교실 등 국가 주도 돌봄 정책은 부모에게 경제력 확대 및 경력의 연속성 등을 주었지만, 아이들에게는 과도한 위탁과 분리로 인한 정서적 상처를 남기고 있습니다.
ㅇ 북유럽·영국·미국 등 복지 선진국들에서도 전일제 보육은 아동 정신건강 문제와 청소년기 공격성 증가 등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ㅇ “경제는 돌봤지만 아이의 영혼은 돌보지 못했다”는 반성과 함께, 최근에는 가족 기반 양육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ㅇ 우리 사회도 맞벌이 중심 정책으로 인해 가정보육 부모는 역차별을 겪고 있으며, ‘직접 돌봄’은 오히려 손해라는 인식이 만연합니다.
3. 정책 제안
1) 무상보육의 재구조화
ㅇ 일정 소득 이상 가정에는 무상보육을 유상 전환하고, 해당 재원을 가정보육 부모에게 현금 혹은 바우처로 지원
ㅇ 부모급여의 실질적 확대 및 이용 편의 강화
2) 부모 직접 돌봄 지원제 도입
ㅇ 만 0~5세 자녀를 직접 돌보는 가정에 월 최대 100만 원까지 지원
ㅇ 부모교육 이수 및 간단한 양육 활동 증빙 필요
ㅇ “어린이집에 안 보내면 손해”라는 인식을 전환
3) 육아휴직제 재설계 및 부모 회복 지원
ㅇ 단계별 유급 육아휴직제 확대 (1년차 100% → 3년차 60%)
ㅇ 복직 연계형 재교육 도입으로 육아를 커리어의 단절이 아닌 성숙의 시간으로 인식 전환
- 국가가 제공하는 무료 또는 저렴한 온라인·오프라인 재교육 프로그램 운영
- 분야별 재취업·창업 준비 과정 개설 (예: IT, 교육, 간호보조, 공공기관 사무 등)
- 지역 내 돌봄 연계형 창직 유도 (예: 공동육아 지원가, 부모교육 코디네이터 등)
- 일정 교육 이수 시 복직 연계 바우처 또는 국가 인증서 발급
- 일정기간 경력단절로 인한 사회보험 공백도 부분 보전
4) 공공시설 기반 연대형 육아 지원 공간 확충
ㅇ 구립 도서관, 주민센터, 복지관 등에 공동육아 나눔공간 마련
ㅇ 구내식당 식사, 장난감이나헌옷 나눔 등 실질적 생활지원과 ‘부모들의 연대’를 위한 커뮤니티 활성화
4. 기대 효과
ㅇ 아이들의 정서안정 및 사회성 회복
ㅇ 가정의 회복과 부모의 행복도 증진
ㅇ 사교육 의존도 완화, 장기적 복지예산의 구조적 효율화
ㅇ 무엇보다, 아이의 입장에서 중심을 되찾는 돌봄 정책으로 전환
⸻
아이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세상 누구보다 나를 사랑해주는 한 사람의 품입니다.
이제는 ‘국가 책임’ 만이 아니라, ‘가정의 회복과 연대’에 중심을 두는 새로운 K돌봄이 필요한 때입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