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 <기본사회 지역생활기술 직업전문학교> 설립 및 운영

■ <기본사회 지역생활기술 직업전문학교> 설립 및 운영 ◯ 제안의 배경 - 귀농인 지역정착 및 마을공동체·사회적경제형 청년일터·일자리 창출 : 귀농 등 농촌지역으로 하방하는 이들이 가장 걱정하는 난제는 ‘먹고사는 문제’로서, 이들에게 ‘지역사회에서 능히 먹고사는 법(기술)’을 가르치는 <국립 지역사회 생활•사업기술 직업전문학교>를 통해 ‘물고기 잡는 법‘을 재교육, 재훈련시킴으로서, 귀농(하방)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을 실질적으로 제거시킬 필요 - 특히, 마을 및 지역사회공동체(사업)의 성공적인 관리와 경영을 위해서는 법는, 그 일을 책임질 전담(전문) 인력이 필수적 : 마을사업가(마을계획가, 마을관리자, 마을마케터 등), 친환경농부, 생태건축 목수, 봉제사, 로컬푸드 요리사, 적정기술 엔지니어 등 ◯ 제안의 목적 - 마을 공동체(Commune) 및 지역사회 공동체(Community), 그리고 마을공동체•지역사회 기반 사회적경제조직(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농어촌공동체회사 등)을 기획, 관리, 운영할 전담•전문인럭을 양성하는 <기본사회 지역생활기술 직업전문학교> 설립 및 운영 ◯ 제안의 효과 - 사업분야, 사업과제(목적)별로 지역사회를 재생시키고 지역사회에서 정주, 생활이 가능한 지속가능한 일터와 실용적인 일자리 창출 - 이같은 일터와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지역공동체 재생으로 지역소멸 대응 ◯ 운영 개요 - 마을사업가(마을계획가, 마을관리자, 마을마케터 등), 친환경농부, 생태건축 목수, 봉제사, 로컬푸드 요리사, 적정기술 엔지니어 등 ‘마을•지역사회 공동체(사업) 관리 및 경영 전문•전담인력’을 발굴․육성하는 전문․특성화 커리큘럼 및 프로그램(전문강사 포함), 컨텐츠(교재 등) 연구 및 개발 - <기본사회 지역생활기술 직업전문학교>> 설립 및 운영 모델을 실행하기 위해, 모델과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연구기관과, 소요 예산과 H/W 인프라를 지원하는 행정기관(광역 및 기초 지자체), 청년인력, 강사 등 Humanware와 교육컨텐츠 등 S/W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교육기관(대학)의 상호호혜적 Win-Win, 시너지효과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