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안배경]
대한민국의 지방소멸 문제는 이미 돌이키긴 어렵다는 것에 모두가 공감하는 내용일 것입니다. 이 문제에 대한 근거와 분석은 이미 수많은 자료들이 있으니 굳이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제안이유]
기존의 패러다임으로 풀 수 없는 문제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접근하는 것이 옳다고 보여집니다.
[제안환경]
현재 대한민국의 농업시스템은 소규모 개인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미국과 같은 거대한 대륙의 농업시스템과 비교해보면 대량기계화 농업이 덜 발달되어 있습니다. 대부분 사람의 손이 많이 필요한 수작업 위주의 농업이 아직도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농촌인구의 고령화문제,외국인 노동자고용문제 등 많은 문제들이 쌓이고 있습니다. 거기에 기후재난이 닥칠때마다 반복되는 농산물 가격 폭등도 큰 문제입니다.
[제안방향]
비어있는 땅을, 혹은 비어가는 땅을 어떻게 사람들로 다시 채울 것 인가로 접근하지 않고 비어있는 땅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가 문제해결의 방향이 되어야 합니다. 이와 맥락이 같은 대통령님의 제안인 '재생에너지 생산시설 확장','에너지산지가격제'도 훌륭한 방안으로 생각합니다.
[제안]
1.비어가는 땅들을 활용하여 현재 소규모 집합농업이 주를 이루는 대한민국의 농업시스템을 대규모 농장체제로 개편
2.AI,로봇,드론,자율주행농기계로 운영되는 대규모 스마트팜 건설
[기대효과]
1.대규모 농업시스템을 통해 저렴하고 안정적인 물가를 관리할 수 있음
2.농촌인구 고령화를 대응할 수 있음.
3.기후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스마트팜 운영을 통해 태풍,가뭄,결빙 같은 자연재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음.1번과 연계됨
4.AI, 로봇,드론,농기계 자율주행의 상용화를 앞당기고 이 분야의 선도적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음.
5.새로운 직업군을 창출 할 수 있음. (원격AI 관리자,원격로봇,드론파일럿,원격농기계 관리자 등)
6.스마트팜 건설을 통해 토목,건설경기 부양의 효과도 얻어질 수 있음.
이상입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