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또는 개인에게 더 관심을 가지면 좋을 것 같은, AI 데이터센터 구축 사업 성공을 위한 정책을 제안합니다(데이터, 시장 환경, 정책 방향의 관점).
반도체의 측정 데이터를 활용한 불량 예측, 기상청 데이터를 활용한 제철 공정의 결로 예측, 자동차 보험 관련 HR업체(콜센터)의 VOC 데이를 이용한 콜 수 예측(자동차 사고 수 예측) 등 다양한 데이터에서 AI 제품 개발에 성공했으나
AI 제품으로 사업화 포기를 한 개인의 경험으로, 후배가 더 잘 성공할 수 있는 환경이 있기를 희망하는 마음으로 정책 제안했습니다.
1. 다양한 데이터(기상데이터, 농정데이터 등)를 병합하여 인공지능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생성 및 규칙 정의 필요
- 예로 당해년도 쌀값 예측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할 때는
농정 계획데이터, 전세계 기상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 병합이 필요합니다.
- 서울시나,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에서는 대부분의 데이터에서 병합 규칙이 없어 데이터를 활용할 수 없었습니다
- 데이터 병합 방식에는 시간대, 지역, 객체 ID(개인 주민번호), 농정 데이터 등 기준 데이터 생성 및 병합 방식이 없어 데이터 활용도가 낮습니다.
- 다양한 데이터를 병합할 수 있는 규칙정의가 필요합니다.
(병합 규칙에 맞게 제공되지 않는 데이터는 활용도가 낮습니다)
2. 데이터전문가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및 정책을 더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DA(데이터 전문가 = 데이터 생성,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모델 생성, 서비스 제공) 역량의 고도화된 인력양성 필요합니다
- 현 대한민국 AI 교육시스템에서는 특정 인공지능 모델링 방식(파이선, 텐서플로우)이 주를 이루고 있고, 시장에서도 특정 제품 위주로 시장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 예로 파이선의 텐서플로우 기반 교육과정에서는 인공지능을 위한 잘 정제된 데이터, AI 기반 교육을 통해 인재양성을 하는 시스템입니다.
- 숫자(센싱 데이터), 이미지, 영상, 텍스트 등 다양한 데이터 병합을 통해 AI 서비스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공지능 맞춤 데이터 센터, 교육 및 인재양성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합니다.
- 데이터 분석을 위한 통계학적 지식을 갖춘 데이터활용을 극대화하는 고급 인제 양성의 교육 및 커리귤럼 강화가 필요합니다.
(통계학과 졸업생을 현장에서 만나기 힘듬)
3. AI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기 전 PoC(Proof of Concept 개념증명,AI ISP(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인공지능 모델 생성 기준 ) 선행되어야 합니다.
☆) 활용 가능한 AI 데이터를 위해서는 데이터 특성에 따라 생성을 먼저 수행하고, 데이터 분석, AI 모델링, AI 서비스 제공이 필요합니다.
* AI 제공 예) 지역민에게 음성인식 AI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 사투리(지역어) 특성을 가지는 음성 수집
-> 음성 데이터 분할 생성(단순 데이터 생성 작업)
-> 음성 인식(음성 데이터 전문가 필요)
->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
-> LLM을 통한 문장의 정확도 인식
-> 덱스트 변환
-> 텍스트 인식
-> 적절한 명령 수행
-> 지속적인 음성 및 텍스트 데이터 수집 및 생성, AI 정확도 향상
=> 지방의 어느 어머님이, 말로 핸드폰을 불편없이 사용하기 위한 AI 서비스 제공 목적의 예시
=> 개인이나 중소기업에서는 데이터 생성을 위한 투자비용이 쉽게 인공지능 서비스 개발을 하기가 힘이 듭니다.
데이터 생성 및 수집을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이 절실합니다.
☆) AI 데이터 센터의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 인공지능을 위한 품질 좋은 다양한 데이터 생성 및 수집
- 중소기업, 개인이 데이터 활용을 극대화하여 AI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 제공
- 데이터 전문가(DA)의 AI 제품을 개발 시도하는 업체(개인)에 맞는 컨설턴트 및 AI 데이터 활용 방안 제공
이상으로
AI 사업 관련 뉴스에서는 개인 또는 중소기업 지원 정책의 정보를 획득할 수 없어
개인 또는 중소기업에 정책적인 서비스가 필요한 중요 정책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공간 제한으로 인해, 더 상세히 제안 못드린 부분 양해 부탁합니다.
그리고 작성일 기준 9개월 째 소득이 없습니다(백수 ㅜㅜ)
시장이 활성화되어 제가 다시 일할 수 있게 해주세요~
(경력도 많고, 나이도 많음 => 사업장에서 부담이되어 선택받을 가능성이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