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중·장년 귀농·귀촌 활성화 및 도시 고령층 재취업 지원 제안

중·장년 귀농·귀촌 활성화 및 도시 고령층 재취업 지원 제안 1. 제안 배경 및 목적 1) 배경 ▪ 1970·80년대 농촌서 성장한 50·60대가 산업화·도시화 과정에서 수도권으로 상경 ▪ 은퇴 후 재취업 기회·노후자금 부족으로 불안 가중 2) 목적 ▪ 도시 복지예산 절감, 농촌 일손 부족 해소, 지역경제 활성화의 ‘트리플 윈’ 실현 ▪ 귀농·귀촌 희망 어르신의 삶의 질 향상 2. 현행 제도 주요 문제점 1) 지원사업 분산·정보 비대칭 ▪ 중앙·지자체·민간 사업 100여 개 분산 운영 ▪ 평균 30분 이상 소요, 절차 복잡 2) 디지털·행정 접근성 저하 ▪ 50대 이상 귀농 희망자의 49.4%가 온라인 신청 어려움 ▪ 오프라인 의존으로 탈락 사례 다수 3) 지자체별 지원 편차 ▪ 보조율·대상·서류 요건이 지자체마다 상이 4) 거주·보전 의무 부담 ▪ 상속·매입 농지 ‘3년 내 경영 보전’·실거주 의무로 초기 비용·시간 과다 3. 추진 방안 1) 중·장년 귀농·귀촌 통합지원센터(가칭) 설치 ▪ 농식품부·행안부·지자체·NPO 협업 컨트롤타워 ▪ 상담→교육→융자·보조금→주택 수리→농기계 임대→사후관리 원스톱 지원 2) 정보·행정 절차 일원화·디지털화 ▪ 지자체별 사업·서류 표준화·단일 플랫폼 구축 ▪ 50·60대 전용 현장 접수 창구 운영 3) 맞춤형 융자·보조 패키지 ▪ 은퇴 고령층 전용 저금리(1.5% 이하) 융자(최대 3억) ▪ 주택 수리·농기계 구매·교육 보조금을 일괄 신청 지원 4) 멘토링·네트워크 프로그램 ▪ 선배 농업인 ↔ 신규 귀농인 1:1 매칭 ▪ 마을 단위 합동 실습장·공유 농기계·인력 플랫폼 도입 5) 규제 완화 ▪ 상속 농지 보전 의무 기간 유예(3→5년) ▪ 실거주 요건 완화·임시 거주 허용 4. 시범 운영 및 전국 확대 1) 내년(2026년) 시범 지자체 지정 ▪ 권역별 3개(강원·전남·충북) ▪ 전담 코디네이터 배치, 운영 절차·성과 검증 2) 2026년 전국 확대 방안 ▪ 시범 성과 기반 전국 통합지원센터 설치 ▪ 예산·조직 체계 개편 5. 성과 지표(예시) ▪ 정착률(%) ▪ 일자리 창출 수(명) ▪ 도시 복지비 절감액(원) 6. 추가 지원 과제 ▪ 디지털 농업 컨설팅(유통·마케팅 역량 강화) ▪ 고령 농업인 건강검진·돌봄 서비스 연계 ▪ 가족 동반 정착 프로그램(배우자 취업, 자녀 교육 지원) 7. 기대 효과 ▪ 도시 복지비 절감 → 재정 건전성 확보 ▪ 농촌 일손 부족 해소 → 생산성·소득 증대 ▪ 지역경제 활성화 → 농산물 가공·체험관광 부가가치 창출 끝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