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대통령님이 광주에서 타운홀미팅을 하는 영상을 봤습니다.
저는 경기도사는 30대 직장인입니다.
대통령님 말씀 중 수도권과 대기업 등 한 쪽으로 몰리는 현상에 대한 걱정에 매우 공감합니다.
저는 전라도가 고향은 아니지만 민주주의 고장으로서 광주가 잘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
지방 경제가 살아나려면 지역의 혈관이라 할 수 있는 소상공인이 살아나고, 일자리가 창출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소상공인과 일자리 창출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서 가장 빠른 방법은 관광으로 인한 경제활성화가 효과가 좋은 대책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이와 같은 제안을 합니다.
📍광주 군공항 이전 부지에 ‘글로벌 아레나 공연장 복합단지’ 건립 제안서
1. 제안 개요
광주 군공항 이전 부지를 활용해 2만석 규모의 메인 아레나와 1,000~3,000석 규모의 중·소형 공연장이 포함된 K-아레나 문화복합단지를 조성함으로써, 광주를 국내 최초의 K-아레나 메카로 육성하고, 지역 경제 및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전환을 이루는 기회로 삼아야 합니다.
2. 현황과 문제의식
현재 대한민국에는 BTS, 블랙핑크 등 K-POP 슈퍼스타들과 해외 유명 아티스트들이 공연할 수 있는 2만명 이상의 상시 대형 아레나 공연장이 없습니다
3. 광주 유치의 강점
✅ 입지 조건
군공항 이전 부지는 1,500,000㎡ 이상의 대규모 평지, 교통 확장 용이.
광주송정역(KTX), 광주공항 인접. 호남 고속철도 중심 도시.
인근 전남/전북, 대구권 관객까지 흡수 가능.
✅ K-POP 문화 특화 가능성
광주는 5·18, 예술, 민주주의의 상징 도시 → K-POP의 정신성과 결합 가능.
전통과 현대, 지역성과 글로벌 감성을 동시에 담는 '광주형 K-컬처' 브랜드화.
✅ 관광 산업 연계
아레나 공연은 숙박·교통·식음료·쇼핑·지역 콘텐츠 산업 전체에 파급.
일본 오사카 돔 공연 시 3일 간 1000억 원 이상의 지역 경제 효과.
초기 투자 대비 회수 기간: 8~12년 추정 (공연 수익, 관광, MICE 수입 포함)
5. 기대 효과
💡 경제적 효과
연간 100회 이상 공연 유치 시 직접 경제효과 3,000억 원 이상.
고용 창출: 직·간접 포함 약 5,000명 이상.
공연, 전시, e스포츠, 기업행사 등 365일 복합활용 가능.
💡 문화적 파급력
지역 예술인 및 뮤지션의 자생적 공연 생태계 육성
청소년, 대학생, 창작자 중심의 소공연장(1,000석 이하) 병행 설치로 문화 다양성
6. 결론 및 제안
광주가 ‘대한민국 공연의 수도’, ‘아시아 대중문화의 허브’로 도약할 기회입니다.
정부의 국책사업(문화 SOC)과 연계하고, 민자 유치 및 기업 협력을 통해 ‘한국형 코첼라, 한국형 오사카 돔’으로 계획.
🔖 후속 제안
국토부/문체부/기재부 협의로 "공연·관광 특화 복합개발지구 지정" 추진
CJ, 하이브, SM, 네이버, 카카오 등과 전략적 공연 콘텐츠 협약
UN문화기구, 광주비엔날레와 연계한 세계 뮤직 페스티벌 개최 등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