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니스(치유건강)산업은 융복합산업입니다.웰니스는 AI부터 앱, 바이오, 뷰티, 푸드, 헬스케어기기, 마음건강, 스포츠, 문화, 관광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 걸쳐 있습니다. 개인 맞춤형 치유건강(웰니스)시대를 맞이하여, 대한민국 고유의 한의학(맞춤의학) 기반으로 산업 전분야를 아울러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통합산업정책이 필요한 시점입니다.대한민국이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분야 중 하나가 웰니스산업이라 생각합니다.
이미 영덕군에서는 웰니스관광에서 출발하여 웰니스문화축제, 웰니스산업박람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이너뷰티 분야 웰니스산업에 산업통상자원부의 예산을 지원 받아 2025년부터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웰니스콘텐츠(자연의학 기반 명상,요가,건강음식 등의 체험)를 기반으로 한 웰니스(시니어)타운 사업(국토교통부 공모)에 선정 유력하여 소멸도시 대응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영덕군에서 웰니스를 주제로 단계적 정책들을 시행하여 그 가능성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아래 정책을 참고하여 국정기획에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대한민국 웰니스산업 진흥 5개년 정책기획(2025-2029) 핵심 요약
1. 현황: 글로벌 웰니스 시장의 폭발적 성장
- 글로벌 시장 : 2023년 6.3조 달러 → 2028년 9조 달러 (연평균 7.3% 성장)
- 한국 시장 : 2023년 약 2,240억 달러 → 2029년 4,500억 달러 목표
- 핵심 성장분야 : 웰니스AI(35~40%), 호텔/리조트(30~35%), 마음건강(25~30%), 웰니스 관광(22~27%)
2. K-웰니스의 핵심 철학: 정기신(精氣神)
(1) 한의학의 인체관을 중심으로 서양의학(생리학,면역학,예방의학 등)을 통합한 현대적 건강관리 체계
- 정(精) : 신체 건강 - 체질별 맞춤형 건강관리
- 기(氣) : 에너지 균형 - 예방 중심 생활습관 개선
- 신(神) : 마음 건강 - 명상, 마음챙김 프로그램
(2) 체질의학 기반 개인맞춤형 진단 시스템
- 육기체질, 사상체질, 8상체질 통합
- AI 맥진기기를 활용한 과학적 체질 진단
3. 비전과 목표
(1) 비전
"K-웰니스로 건강하고 행복한 대한국민,
세계를 선도하는 웰니스 강국 대한민국 KOREA"
(2) 5개년 정책목표
1. 시장 규모 : 3,500억 달러 달성, 수출 50억 달러
2. 글로벌 브랜드 : K-웰니스 인지도 세계 Top 5
3. 국민 건강 : 웰니스 참여율 15% 증가,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률 50%
4. 3대 핵심 전략
(1) 전략 1: K-웰니스 정체성 확립
- 한의학 기반 "K-웰니스 라이프" 표준 모델 개발
- 정기신 철학을 현대화(서양의학 결합)한 통합 건강관리 프로그램
- 글로벌 K-웰니스 브랜드 구축
(2) 전략 2: 9대 핵심 분야 집중 육성
1. 웰니스 AI -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AI 코칭
2. 웰니스 바이오 - 체질별 기능성 소재 개발
3. 웰니스 푸드 - 맞춤형 건강식단, K-푸드 융합
4. 웰니스 뷰티 - 이너뷰티, K-뷰티 융합
5. 웰니스 헬스케어 기기 - 맥진기기, 웨어러블
6. 웰니스 콘텐츠 - K-명상, 정신건강 프로그램
7. 웰니스 시설 - 치유건강 건축, 웰니스 리조트
8. 웰니스 스포츠 - 기공, 요가, 한국 전통 수련법
9. 기타 - 정신건강, 웰니스 관광, 전통의학 등
(3) 전략 3: 글로벌 협력 및 시장 선도
- 인도(아유르베다), 유럽(스파) 등과 전략적 협력
- K-웰니스 국제 표준화 주도
- 해외 진출 통합 지원 체계 구축
5. 추진체계 및 투자계획
(1) 거버넌스 : 민관정 협력 모델
- 민간 주도 : K-웰니스 산업협의회 (기획·혁신)
- 정부 지원 : 웰니스정책실행위원회 (실행·지원)
- 정치 조정 : 국회 웰니스정책포럼 (입법·예산)
(2) 투자 규모 : 총 10조 원 (2025-2029)
- 민간 투자 : 6조 원 (60%)
- 정부 지원 : 3조 원 (30%)
- 지자체 : 1조 원 (10%)
6. 기대효과
(1) 경제적 효과
- 웰니스 산업 GDP 기여도 10% 달성
- 고부가가치 일자리 5만 개 창출
- 웰니스 관광객 연 50만 명 유치
(2) 사회적 효과
- 건강수명 80세 달성
- 의료비 30% 절감 기여
- 국민 행복지수 세계 10위
(3) 국가 경쟁력
- 글로벌 웰니스 시장 점유율 5%
- K-웰니스 브랜드 가치 100조 원
- 소프트파워 순위 세계 5위
7. 성공을 위한 핵심 제언
(1) 강력한 리더십**: 국가웰니스전략위원회 조속 신설
(2) 선택과 집중**: 정기신 철학 기반 핵심 분야 집중 투자
(3) 규제 혁신**: 웰니스 산업 특성에 맞는 유연한 규제
(4) 민간 주도**: 정부는 지원, 민간이 혁신 주도
(5) 국제 협력**: 전통의학 보유국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6) 지속가능성**: 국민 건강과 산업 성장의 균형
"K-웰니스는 한의학의 지혜를 현대 과학으로 재해석하여,
개인의 타고난 체질에 따른 맞춤형 건강관리로
인류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에 기여하는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동력입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