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G밸리의 D.N.A(Data Network AI) 산업기반 강화를 위한 발전방안을 제안합니다.

G밸리의 D.N.A(Data Network AI) 산업 기반 강화를 위해 5대 과제를 중심으로 금천구 주도의 종합적인 발전방안을 제안합니다. 1. 산업단지 규제개선 - G밸리는 서울시와 한국산업단지공단 간 이원화된 관리체계로 인해 행정 비효율과 복잡한 규제가 발생하고 있음. - 기업 활동을 저해하는 이 같은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산업단지 내 일부 행정 권한을 금천구에 부여하여 신속한 행정 처리를 유도해야 함. - 산업집적법 개정을 통해 입주업종 규제를 포지티브 방식에서 네거티브 방식으로 전환함으로써, 신산업·서비스업 등의 유입을 촉진해야 함. - 규제 혁신을 통해 G밸리를 유망기업 중심의 경쟁력 있는 산업거점으로 육성할 수 있음. 2. G밸리 교통문제 해결 - 입주기업 증가에 비해 도로 인프라가 부족하여 극심한 교통 혼잡 문제 지속. - 주요 교량(광명대교, 금천교, 철산교 등) 부족으로 출퇴근 시간대 교통체증 심화. - 서부간선도로 일반도로화, 디지털3단지~두산길 지하차도 조기 추진이 시급함. - 시흥대교, 금천교, 철산교 등 기존 교량의 확장·구조개선이 필요함. - 광역교통대책 반영 및 사업비 지원을 위해 정부 및 관계기관의 적극적인 조치 요구됨. 3. D.N.A. 산업 친화형 산업단지 조성 - 금천구는 D.N.A.(Data, Network, AI) 산업 기업 분포 및 성장률에서 서울시 상위권. - 기존 제조업 중심 산업구조에서 첨단산업 중심으로 전환 필요. - AI 기반 실증 테스트베드, 빅데이터 분석 인프라 등 기술 기반 시설 구축 필요. - AI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과 연계한 정책적 지원 확대 필요. - G밸리를 4차 산업혁명 핵심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 필요. 4. 중소기업 지원공간 마련 : 구로세관 부지 개발 - G밸리 내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은 성장공간 부족으로 경쟁력 강화에 한계. - 구로세관 부지를 활용하여 AI Innovation Tech 센터 등 기능통합형 지원시설 조성 필요. - R&D, 창업지원, 네트워킹 등 기업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제공. - 창업부터 시장 진입까지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지역 창업 생태계 활성화 가능. - 국유지 활용 및 재원 집행을 위한 중앙정부의 제도적·재정적 지원 요구됨. 5. 친환경 산업단지 전환 : G밸리 가든팩토리 조성 - G밸리 내 녹지가 파편화되어 있고, 초미세먼지·폭염 등 기후 환경 악화 심화. - 녹지축 확보를 위한 정원특화단지 및 마스터플랜 수립 필요. - 가로수·띠녹지와 연계한 녹지축 조성으로 도심 환경 및 산업단지 경관 개선. - 보행·녹지 네트워크 강화, 커뮤니티 공간 및 가든팩토리 조성을 통한 산업생태계 지원. - 정부 차원의 정책적·재정적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며, 중앙정부의 적극적 역할 요구됨. ※별도 상세 제안자료 송부 [관계부처 : 산업통산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국토교통부]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