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AI시대 대비 감수성 회복 프로세스

1. 제안 배경    마을에 아이 목소리는 새벽 닭 소리와 같이 마을에 활기를 주고, 아이는 어른들의 삶을 보면서 성장 발달한다고 합니다.   현재 마을에는 청소년이 1명 또는 없는 마을이 많습니다.    청소년을 키우는 부모에 입장에서 보면 어쩔수 없이 귀농산어촌에서 생계를 위해 외부 활동해야하는 상황에 청소년은 스마트폰과 컴퓨터에 몰입되어 도시 삶보다 정서적 발달 상실하는 모습을 경험하게 됩니다.   공동체는 두발로 뛰고 놀면서 골목길을 알고 주민과 상호 신뢰하는 연대 의식에서 비롯한다고 생각합니다.      가.  학교 밖 청소년(9세~24세이하) 활동 공간 및 운영 필요.     나. 청소년은 타인에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전인적 활동, 협력, 자아존중감, 체험 경험 등으로 감수성 회복에 필요.     다. 특색 있는 마을 학교 조성하고, 다시 지역사회로 환원되는 선순환적 구조의 마을공동체 활성화 필요     라. 마을교사는 지역사회 선도자 역할 역량 강화를 위한 자기개발 및 공익활동이 주는 보람이 성취감으로 선한 영향력 실천에 도움이 되어 필요 마.아이들에게는 넓은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민들에게는 교육 공동체의 일원으로 아이들의 성장을 함께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간 2. 제안 내용    가. 읍면동 단위별 주말 마을학교 복지회관이나 공공시설에 개설 지원    나. 마을학교 운영에 필요한 실비(수업재료비. 간식비. 강사비 지원) 지원 다. 마을 주민에게 청소년 활동 학습 돕는 연수 교육 지원 3. 기대효과    가. 성장하는 우리 지역 아이들이 바르게 발달하여 지역 주민으로 성장할 수 있는 마을공동체 역할 확대에 기대    나. 지역사회에서 청소년들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소통하고 공감하는 태도에 기대    다. 자연과 함께 더불어 실외에서 하는 활동을 통해 참여하는 학생들의 창의력, 의사소통, 심미적 감성, 공동체 의식 핵심역량 강화에 기대   라. 다양한 체험을 통해 진로 탐색의 기회 가지며, 학습 생태계 경험 유도하고, 마을공동체 주민 의식 향상에 기대   마. 공익활동 경험으로 선한 영향력이 주는 자아실현 욕구 및 마을 공동체 활동 참여에서 오는 성취감에 기대   바. 존중과 배려을 실천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으로 태도 개선에 기대 사. 청소년에게 나타나는 의사소통 역량 부족으로 인한 대면 소통 어려움 해소 4. 관련근거 가. 청소년 기본법 48조의 2 (청소년 방과 후 활동의 지원) 나. 청소년 기본법 시행령 제 33조 3(청소년 방과 후 활동 종합지원계획의 수립) 다. 청소년 기본법 시행령 제33조의4(방과 후 활동 종합지원사업 실시) 라. 청소년활동진흥법 제11조(수련시설의 설치ㆍ운영 등) 바.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 제3조(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