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수학시험과 관련해 제안하고 싶은 점이 있어 글을 작성합니다.
저는 은퇴 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프루에 거주하며 15세 아들을 키우고 있는 한국인입니다.
아들은 이곳 KL에 있는 영국계 국제학교에서 올 9월이면 11학년이 되고, 2026년 5월에 IGCSE라는 국제공인 Secondary Education 시험을 앞두고 있습니다.
저는 아들 수학교육을 위해 약 5년 전부터 수학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제가 공부하는 방식은 아들이 학교에서 배우는 수학 커리큘럼과 IGCSE과거 시험문제 풀이 및 한국 수능준비 인터넷강의와 수능 기출문제 풀이를 주로하고 있습니다. IGCSE의 수학시험 평가방식과 한국의 수능 수학문제 풀이를 하면서 느낀 점을 제안 드리고 싶습니다.
첫째, 수능 수학시험시간을 최소 30분에서 1시간 늘려야 합니다.
2025학년도 수능 수학문제 기준으로 시험시간 90분에 30문제가 출제되었고 소위 말하는 킬러성향의 6문제 포함하여 4점짜리가 13문제 출제되었습니다. 한번이라도 직접 풀어본 사람은 공감하겠지만 킬러성향의 문제는 읽고 바로 이해해서 풀이를 진행하더라도 그 많은 단계와 계산을 거치다 보면 한 문제 당 적어도 10분 이상 필요하고 상당히 고난도의 문제는 문제 자체를 이해하는데만 5분 이상이 걸립니다. 단순 계산만으로도 킬러성향 6문제에 60분 걸린다 치면 나머지 24문제를 30분 안에 끝내야 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문제는 2-3점 문제는 비교적 쉬워서 빨리 해결 할 수 있지만 킬러성향 6문제를 제외한 나머지 4점 문제도 상당히 까다로운 것들이 있고 해결하는데 시간이 상당히 필요한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현실이 이렇다 보니 2등급을 목표로 하는 수험생 마져도 킬러성향 문제 중 상당량을 아예 처음부터 포기하는 것입니다. 한국교육평가원에서 수능 수학문제를 준비할 때 가장 공을 많이 들이는 것이 킬러성향 문제입니다. 하지만 현실은 수험생의 90% 이상이 그 문제들을 처음부터 포기한다는 것입니다. 그럼 그동안 왜 시간 부족에 대한 불만이 크지 않았는가? 제 나름 추정해보면 90%이상의 수험생이 킬러성향의 상당부분을 포기하기 때문에 시간 부족을 크게 느끼지 못했을 것이고 1등급을 목표로 하는 소수의 학생들의 경우 그들의 성향상 본인의 실력부족을 탓했을 것이라 추정합니다. 설령 목소리를 냈다 해도 소수라서 크게 반영되지 못했을 것입니다.
제 아들이 준비하고 있는 IGCSE의 경우 문제를 모두 풀고 나도 적어도 30분 이상이 남을 정도로 충분한 시간이 주어집니다. 시간으로 수험생을 압박하는 시험구조가 전혀 아닙니다.
둘째, 부분 점수 제도를 도입해야 합니다.
IGCSE 수학 시험의 경우 모든 문제가 서술형 문제입니다. 또한 모든 문제의 풀이과정을 적어야 합니다. Mark scheme이라고 해서 채점표가 주어지고 문제풀이의 중간 중간 과정마다 점수가 부과됩니다. 답이 맞았어도 과정이 틀리면 감점이 되고 마지막 답이 틀렸어도 중간 과정이 맞으면 그 과정 과정마다 주어진 부분 점수는 받는 것입니다. 한국 수능 수학시험의 경우 주관식이라고 해서 단답형 문제가 몇 문제 있지만 이건 말그대로 찍어서 맞추는 것 방지하는 효과 뿐입니다. 수험생들이 킬러성향의 상당부분을 처음부터 포기하는 이유는 결국 최종적인 답을 도출하지 못하면 똑같이 0점을 받기 때문입니다. 풀어보면 알겠지만 킬러성향문제는 많게는 4-5단계의 중요한 중간과정을 거쳐야 최종 답을 도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간 들여서 4단계까지 풀었어도 마지막 단계를 성공하지 못하면 처음부터 그 문제를 포기한 학생과 똑같이 0점입니다. 또한 모든 과정을 맞고도 마지막 단순 계산실수로 답이 틀린 경우도 0점입니다. 부분 점수 제도를 도입한다면 단 1점이라도 추가로 받기위해서 대부분의 수험생들이 킬러 성향 문제에 도전할 것입니다. 모든 문제를 서술형으로 바꾸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킬러성향 6문제 만이라도 서술형과 부분점수 제도를 도입해야 합니다. 수학 교육의 목표는 단순히 점수에 의한 변별력 확보만은 아니라 생각합니다. 모든 수험생이 평가원이 심혈을 기울여 준비한 문제에 도전하고 생각하며 사고력을 키우는 것이 더 중요한 목표라 생각합니다.
참고로 위에서 언급한 IGCSE는 고등교육 졸업시험에 해당되고 한국의 수능에 해당되는 것은 A Level 시험이 있습니다. A level 수학시험도 모두 서술형이고 부분 점수제도가 있습니다. 매우 어려운 문제가 출제되지만 시험시간은 충분히 주어지는 시험입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