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해양기관 이전 시 서부권 발전 및 권역별 해양대 특성화 전략

해양기관 이전 시 서부권 발전 및 권역별 해양대 특성화 전략 해양수산부 등 관련 기관이 모두 부산으로 이전한다는 가정 하에, 서부권 항만도시의 발전과 국가 전체의 해양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양대학 통합이 아닌 권역별 특성화'를 핵심 기조로 한 전문가 정책을 제언합니다. 1. 서부권 해양도시: '선택과 집중'을 통한 특화 발전 중앙정부 기능의 동부권 집적에 대응하여 서부권 항만도시들은 각자의 지정학적, 산업적 강점을 극대화하는 차별화된 발전 전략을 추진해야 합니다. 인천: 인천국제공항과 연계한 '동북아 해양-항공 융복합 스마트 물류 허브'로 도약. 평택: 인근 첨단산업과 연계한 '고부가가치 산업 항만'으로 특화. 군산·새만금: 새만금의 잠재력을 기반으로 '친환경·미래 에너지 융복합 항만' 구축. 목포: 다도해 자원을 활용한 '서남권 해양관광 및 친환경 조선·레저 거점'으로 발전. 여수: 석유화학단지를 기반으로 '탄소중립 선도 항만 및 해양 웰니스 관광' 추진. 제주: '국제 해양교류 및 청정 해양바이오 허브'로 자리매김. 2. 국가 해양대학, '통합'이 아닌 '권역별 특성화'로 가야 한다 위와 같은 서부권의 미래 발전 전략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를 뒷받침할 인재 양성 및 R&D 거점이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국립 해양대학을 동부권으로 통합하는 것은 국가 균형발전과 미래 해양산업 경쟁력 확보에 역행하는 정책입니다. 통합 논의를 중단하고, 동부권과 서부권에 위치한 각각의 대학이 고유의 역할을 맡아 상호 발전하는 '투트랙(Two-Track) 특성화 전략'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단일 대학 체제를 반대하는 이유 권역별 산업 생태계 붕괴 초래: 서부권 항만도시들이 추진할 스마트 물류, 친환경 에너지, 미래 모빌리티 등 특화 산업은 현장에 맞는 맞춤형 인재를 필요로 합니다. 모든 인력 공급을 동부권의 단일 대학에만 의존하게 되면, 지역 산업은 인력난에 시달리고 결국 서부권 해양산업 생태계는 고사할 것입니다. 해양안보 및 안전관리 공백 발생: 서해는 복잡한 해상교통로와 조업 환경, 군사적 긴장 등 동·남해와는 다른 특수성을 지닙니다. 이 해역의 안전을 책임질 전문 해기인력과 재난대응 연구·훈련의 핵심 거점을 없애는 것은, 국가 해양안보에 스스로 공백을 만드는 위험한 발상입니다. 국가 균형발전 원칙 역행: 고등 해양교육 기능을 한쪽 권역에만 집중시키는 것은 교육 기회의 불평등을 낳고 지역 인재 유출을 가속화하여 국가 균형발전이라는 대원칙에 정면으로 위배됩니다. 권역별 해양대학 특성화 발전 방향 따라서 동부권과 서부권의 해양대학은 각자의 지리적·산업적 환경에 맞춰 다음과 같이 역할을 분담하고 특화해야 합니다. 동부권 해양대학 (부산 권역): 글로벌 물류 허브항만인 부산항과 연계하여 컨테이너선, LNG운반선, 초대형 유조선 등 전통적·글로벌 상선 해운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과 R&D에 집중하는 '글로벌 해운 리더' 양성 기관으로 역할을 강화합니다. 서부권 해양대학 (서남권): 서해안의 신산업 수요에 부응하여, 미래 해양 신산업을 선도하는 '특성화·전문화' 대학으로 육성해야 합니다. 친환경·미래 선박 허브: 서해안 해상풍력, 그린수소·암모니아 등 차세대 에너지 산업과 연계하여 관련 유지보수선(SOV), 특수선 운용, 안전관리 전문인력을 양성합니다. 차세대 해상교통 시스템 선도: 다도해의 연안 여객 운송, 해양레저 산업에 필요한 인력을 공급하고, 서해를 자율운항선박 및 해양드론의 실증 테스트베드로 활용하는 R&D를 주도합니다. 결론 국가 해양력의 극대화는 획일적인 통합이 아닌, 각자의 강점을 살린 유기적 역할 분담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동부권 대학이 '글로벌 상선 해운'의 중심축을 잡는다면, 서부권 대학은 '미래·친환경·해양레저' 등 새로운 블루오션을 개척하는 전문기관으로 성장해야 합니다. 이것이 곧 국가 전체의 해양 경쟁력을 한 단계 높이는 가장 현명하고 지속가능한 길입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