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공무원 고소 사건, 동일 지역 경찰서 배정 금지 및 외부 이관 제도 도입 건의

■ 제목 공무원 고소 사건의 동일 지역 경찰서 배정 금지 및 외부 기관 자동 이관 제도 도입 건의 ■ 요지 □ 시청, 구청 등 지역 공무원뿐 아니라 중앙행정기관 지방청 소속 공무원을 고소하는 경우에도 고소 대상자의 근무지와 동일한 지역(시·구)의 경찰서로 사건이 자동 배정되는 구조적 문제가 있음 □ 이로 인해 고소 사건이 해당 지역 사회 내 유착 및 조직 보호 논리에 따라 은폐 또는 축소 처리되는 사례가 반복됨 □ 공무원 고소 사건은 피고소인의 소속기관 소재지를 관할하는 경찰서를 배제하고, 외부 수사기관이나 광역 단위 상급 경찰기관으로 자동 이관되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함 ■ 배경 및 문제의식 □ 현재 고소 사건은 행정구역 단위에 따라 자동으로 관할 경찰서에 배정되는 구조임 - 예: ○○시 소속 공무원 고소 → ○○경찰서 배정 - 예: 중앙부처 지역사무소 공무원 고소 → 해당 지역 경찰서 배정 □ 그러나 동일 지역 경찰서의 경우, - 해당 기관과의 업무 협조 관계, 관례적 친분, 지역 인맥 등으로 인해 수사 축소 또는 기피 가능성이 구조적으로 발생함 □ 실제 사례에서는 - 고소 접수 기피, 수사 지연, 조사 없이 종결, 불송치 처리 등 고소권을 실질적으로 무력화하는 방식이 반복적으로 발생 ■ 제도 개선 방안 1. 동일 지역 경찰서 자동 배정 금지 제도화 - 공무원을 피고소인으로 하는 사건은 해당 기관이 위치한 지역 경찰서에 배정하지 않고 외부 기관으로 자동 이관하도록 시스템 개선 2. 공무원 고소 사건 외부 이관 매뉴얼 제정 - 경찰청 차원의 수사지침 또는 중앙행정기관-경찰청 간 협의 기준 마련 - 배당 회피 자동 검토 3. 이관 요청 시 자동 수용 원칙 설정 - 고소인이 이해관계 충돌 우려를 제기한 경우, 별도 절차 없이 외부 수사기관으로 이관되도록 처리 기준 명확화 ■ 기대 효과 □ 공무원 고소 사건의 은폐 및 유착 구조 해소. 부패 방지. □ 동일 지역 내 조직 간 방어성 대응 차단 □ 고소인의 고소권 실효성 보장 및 수사 공정성 제고 □ 경찰 수사에 대한 국민 신뢰 회복 및 법 집행 독립성 강화 ■ 맺음말 고소 대상 공직자가 근무하는 행정기관과 동일 지역 관할 경찰서에서 고소 사건을 처리하는 현재 구조는 수사 독립성과 공정성을 훼손하며, 공직자에 대한 법적 책임 회피를 조장할 수 있습니다. 공무원 고소 사건에 대해서는 배당의 독립성과 거리두기를 제도화하여, 고소인의 권리를 보호하고 공정한 수사 환경을 보장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2025-06-28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