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탄소 잡고, 건강 잡고, 경제 잡는 건강에너지 발전소

탄소중립·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건강에너지발전소’는 비어 있는 공간(노인복지회관, 경로당 등)에 친환경 발전 운동기구를 도입하고, 우리나라 공원과 하천변 등 공공장소에 이미 설치된 운동기구를 활용하여 운동과 전기생산을 동시에 실현하는 모델입니다. 생산된 전기는 공공시설에 활용하고, 개인에게는 지역화폐 형태의 탄소포인트를 지급하여 참여를 유도합니다. 이를 통해 탄소 저감, 건강 증진,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세 가지 효과를 달성하고, 특히 고령층의 건강관리와 사회참여를 촉진하여 복지예산 절감과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 모델을 구현합니다. [개요] ○ 탄소 잡고 -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한 탄소저감 대책 필요 - 탄소중립의 사회적 합의를 위한 국민들의 공감대 형성 중요 ○ 건강 잡고 - 2025년 대한민국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총 인구의 20%인 초고령 사회 진입, 65세 이상 국민을 위한 건강 대책 필요 ○ 경제 잡고 -(국가) 국민들의 건강, 복지, 사회활동 참여에 더 많은 관심과 예산 필요 -(개인) 운동량만큼 지역화폐와 연동하여 탄소포인트 지급 ○ 탄소 잡고, 건강 잡고, 경제 잡는 건강에너지발전소 설치 - 비어있는 공공장소(노인복지회관, 지하철역, 경로당 등)에 전기를 만드는 친환경 운동기구 시범설치 - 차후 공원, 하천변 등에 기 설치된 운동기구로 확대 [현황 및 문제점] ○ 국민의 63.2% “기후변화,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기후변화에 따른 국민 건강영향 인식도 조사 (질병관리청&대한예방의학회, 2022)고 답을 했으나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실제 행동으로 옮기는 경우는 많지 않음 ○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국민적인 공감대 형성이 필요함 ○ 공원, 하천변 등 공공의 장소에 많은 예산을 들여 운동기구를 설치하고 있으나 예산 대비 이용도는 떨어짐 ○ 통계청 장례인구 추계 장례인구 추계 (통계청, 수록기간 1960~2072)에 따르면 우리나라 2025년 55세~79세 인구가 31.89%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 통계청 자료 노인(65~69세)의 건강상태 만족도 노인의 평소 건강상태(통계청, 수록기간 2018년 12.10. 자료갱신) 를 보면 56.6%가 (그저 그렇다 (20.9%), 나쁜 편이다(31%), 아주 나쁜 편이다(4.7%))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조사됨 ○ 통계청 자료 노인(65~69세)의 운동 정도 노인의 운동 정도(통계청, 수록기간 2017~2020. 2022.8.19.자료갱신) 를 보면 58.1%가 비실천과 권장수준 미달인 것으로 조사됨 ○통계청 자료 노인(65~69세)의 만성질병 개수 노인의 만성질환 개수(통계청, 수록기간 2014~2020. 2022.8.19. 자료갱신) 를 보면 75.6%가 1개 이상의 질병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개선(운영)방안] ○ (탄소 잡고) - 비어있는 공공장소에 전기 만드는 친환경운동기구 설치, 운동하면서 생산한 전기를 공공장소용 에너지로 사용하여 탄소 저감 - 추후 퀵보드, 핸드폰 충전, 전기자전거 배터리 대여 및 판매로 수익 ○ (건강 잡고) - 공공장소에 설치된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노년층의 건강관리 및 전기생산자로 사회참여 유도하여 삶의 질 향상 - 추후 모든 계층 참여 유도 ○ (경제 잡고) - 노년층의 건강유지에 소요되는 복지 예산 절감 효과 - 전기생산 국민에게 포인트(지역화폐) 적립하여 가계 및 지역경제 활성화 - 운동기구 관리 및 운영을 위한 건강코디네이터 지원으로 노인 일자리 창출 건강관리와 더불어 환경교육실시 환경공감대 형성으로 탄소중립 대중화 및 습관화 [기대효과] ○(탄소 잡고) 친환경 운동기구를 이용한 전기생산으로 탄소 저감 ○(건강 잡고) 운동을 통한 노년층의 건강관리 및 사회참여 유도로 삶의 질 향상 ○(경제 잡고) 건강유지에 따른 복지 예산 절감 및 포인트 지급으로 가계 및 지역경제 활성화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