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재생에너지에 관심이 있어 글을 올립니다. 현재 대한민국은 재생에너지로 전력 생산을 하는 방법에 태양광, 풍력을 과거로부터 사용해왔습니다 만 실용성 효율성 생산 연속성 과연 좋았을까 하는 의문점은 존재합니다.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 동력원 범위 내에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연속성을 우수하게 한다면 두 가지 실용성과 효율성은 자동으로 해소되는 매우 중요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현존에 수력발전소는 담이나 보에 물을 가두고 가둔 물의 수두차를 이용해 수차발전기로 전기를 생산 방식입니다. 만
저는 이 부분을 배제하고 물의 수두차를 형성 시켜 수차발전기를 통해 전기를 생산합니다. 전기는 기존의 전력 망을 통해 공급되며 사용되는 전기의 부하 변동률에 따른 계통추종 운전 즉 출력이 떨어지면 올리고, 올라가면 내리는 자동 추종운전 제어 시스템으로 연속적인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설계 과정을 거치고 파이롯트 장비를 제작하여 시험 운전 과정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데 성공을 했습니다. 청수발전 설비는 현존의 수력발전 기재자를 그대로 도입하여 전기를 생산하며 적은 땅(실 평수 100평에 20MWh)에 생산이 가능 하다는 겁니다. 또한 분산형 설비로 생산되는 전기는 바로 동네 전주에 연계하여 공급 가능하며, 발전소 내의 (수력, 화력 발전소) 공유지를 이용하여 청수발전소를 건설하고 생산되는 전기는 전력망에 연계 공급할 수 있습니다.
발전용수 방류 없고, 대기 가스 방출 없으며, 소음은 법적 기준 이하로 자연의 파괴도 없습니다. RE100%에 발전소, 탄소 중립 발전소임을 각인합니다.
제가 이 제안을 올리는 이유는
첫 번째. 수력발전 공기업 공유지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 화력발전 공기업 공유지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세 번째. 국가경쟁력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또한 이 프로젝트를 실현할 의지력이 강한 분을 국민 추천제(한수원 수력부분 직급: 1직갑 성명: 이용규 6월말 퇴직 예정)를 통해 추천을 했습니다.
추천 동기는 오랜 시간 동안 고정관념에 싸여 벗어나지 못하는 공기업 실무자가 대다수임에 혁신의 강한 의지력을 가진 분을 추천 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개발한 청수발전 자료 발표 기회를 얻고 싶으며 또한 파이롯트 장비를 가동하여 전기가 생산되는 모습도 보여드릴 기회도 얻고 싶습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