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사회 전망: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의 결합은 빅데이터와 가치시스템 혁명을 부르며, 빅데이터 가치의 공유는 블록체인혁명을 정치경제문화 전분야로 확산시킴.
◈ 한국의 AI휴머노이드 개발제안: 한국만의 강점을 지닌 AI+로봇 빅데이터는 식물의 구분과 농사를 보조하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고령화 농촌을 살릴 뿐 아니라 향후 시설농 강국이 될 수 있는 저력이 됨, 등산을 하며 약초를 구분하는 로봇들은 산림의 상태를 파악함으로서 산불을 예방하는 재난예방 기능도 할 수 있음, 아울러 고령화 시대에 의료적 돌봄 간호사 로봇은 외국의 선점 여부와 상관없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
□ 인공지능·로봇 발전에 따른 미래인문학적 변화:일하는 시간보다 생각하거나 즐기는 시간의 폭발적 증가
-임금노동으로부터 해방되거나 소외되는 인력의 대량 증가 발생
-해방되는 소수는 돈을 쓰면서 즐기는 문화로 이동 (여행, 소비)
-자본이 많아서 인공지능 로봇을 고용할 수 있는 사람은 노동으로부터 해방감을 느낌
-소외되는 다수는 비소비적 무료 콘텐츠를 즐기는 문화 확산
-자본이 없는데 실업을 맞는 다수는 버림을 받은 소외감과 상실감을 보상하려 함
-따라서 무료 AI 플랫폼과 가상현실 속으로 들어가서 도피성 게임 중독 가능성이 큼
-확보되는 시간이 창의적 놀이랑 결합하면서 콘텐츠 상품 다양화
-인공지능의 능력을 활용하는 국민들이 의외의 창조경제문화 고양
-한국인 특유의 신명문화가 드디어 잠재력을 발휘할 대규모의 기회
-국민의 건강이 좋아지고 다양한 문화를 즐기는 마을문화의 확대
ㅇ (부정적 요소)
-실업층과 빈민층 확대로 부유층이나 첨단 기업들 증세가 요구됨
-자본이 많은 국민과 기업들의 국적포기나 재산은닉욕구가 커짐
-최소비용으로 문화를 즐길 인프라를 확보하지 못한 불황 예상
-서민층과 빈민층은 사회 불만 폭력세력 배출의 텃밭이 될 가능성
-가상현실과 게임에 중독되는 인구증가와 가상의 폭력 현실화 예상
□ 주요 사회적 해결 이슈
☞ (조치사항)
-가상현실 활동으로 국가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콘텐츠의 개발
-ICT 다국적기업들의 사회적 실험에 국민들의 유상 참여 확대
☞ (조치사항)
-국민기본소득 제공에 자기계발 프리미엄을 도입한다.
-도시농업과 생태농업의 문화를 대규모로 확산시키며 시설제공
*로봇복지문화산업+에코리컬쳐 = 로봇세 확보, 고령화 고실업률, 파견 케어(대화)보조로봇과 가상현실 문화체육센터(O2O 복지문화센터 설립, 간병~농업보조~케어로봇 개발, VR+AR 아바타 마을,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로 유도, 가상게임 스토리 협업 창출), 고령 농업인 복지로봇, 독거노인 돌봄친구로봇, 독거인 친구로봇+관계복지
-특정 온라인에 접속하거나 활동하는 시간에 따른 보상체계 도입
-도서관 학습관 등의 인문학 프로그램 출석과 활동을 현금지원
-문화예술디자인+농업원예+ICT 기업이 융합된 청년 공동체 지원
☞ (조치사항)
-새로운 놀이나 게임을 창안하는 교육의 확대와 공연예술 확대
-저비용 문화축제 음식축제 기획과 전통문화로 해외 관광객 유치
-UCC DIY문화 확산과 다양한 콘텐츠은행 빅데이터 이자 지급
*다양한 콘텐츠은행=한글교육 콘텐츠, 게임이나 영화 시나리오, 캐릭터, 디자인, 개선안, 3D프린터용 모형과 인형, 아이디어 제품, 예술작품, 자서전이나 수필 등의 저작물, 각종 사진, VR용 입체영상, 중고제품, 골동품, 각종 사투리 음성파일, 작곡과 노래, 연주, 공예 제작 영상
*콘텐츠은행이자=우수 제품이나 아이디어의 현실화 비용, 공동작업장 제공, 스튜디오 제공, 단지 콘텐츠를 올리기만 해도 기본적 보상 제공, 각종 콘텐츠들의 개선안 제공에 추가 포인트, 참여에 대한 포인트 제공, 포인트 거래 허용, 일정기간이나 일정량의 포인트에 대한 현금교환
□ 주요 인문학적 해결 이슈
☞ (조치사항)
-상품판매 뿐 아니라 문화 서비스 영역도 고용감소가 예상됨
-한국형 서비스로봇이 서비스 빅데이터를 만나도록 조치하기
-인공지능은 디자인서비스나 가상현실에서 먼저 활동하기 시작
-기업과 상관없는 분야에서 문화예술의 역할은 더 확대됨
-예술이 평가되지 않는 삶의 일부가 되도록 교육부터 바꾸기
☞ (조치사항)
-음악 디자인 건축 스토리 분야에서 인간과의 협업이 확대됨
-특정 민족이나 부족의 독특한 문화콘텐츠의 발굴로 차별화 시도
-기업경영과 행정분야에서 일자리 감소 사회복지 인문학 부상
-인간의 인문학은 현실 삶의 문제를 해결하고 위로하도록 진화
□ 장기적 사회문제와 안점들에 대한 생각들 1
☞ (조치사항)
-다양한 비화폐적 가치들의 가치화는 칭찬하는 문화가 필요
-추상적 칭찬에 대한 포인트나 가상화폐 보상문화 시스템 마련
-모든 토론동향의 가치화와 의사결정과정 기록과 공개 확대
☞ (조치사항)
-인간끼리의 공감적 특성과 동물과의 교감 강화 문화가 필요
-나르시시즘 등의 개인에게 침잠하는 가상현실망의 건강관리
-유전자 합성 아이의 친권 확대와 입양에 대한 다양성 확보
-모든 형태의 부부를 인정하되 아이를 잘 기르는지 모니터링
□ 장기적 사회문제와 안점들에 대한 생각들 2
☞ (조치사항)
-기본적 먹거리를 스스로 만드는 에코리컬쳐 문화의 확산 필요
*에코리컬쳐 EcoriCulture = ecosystem + agriculture + culture
-문화적 활동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력을 정량화 하여 소득제공
-물질적 가치가 인공지능의 몫이 되니 문화적 가치의 다양성 확보
☞ (조치사항)
-자동화와 캄테크는 인간의 마음을 읽는 텔레파시로 진화
-생각을 읽는 자동화 기계는 생명체처럼 알아서 움직이게 됨
-가상현실 내에서 부족사회 형성과 부족의 상징성이 토템이 됨
-지구촌 자동화 시점 대비 환경을 생각하는 홍익제물 사상 연구
-세계언어의 오프라인 기록문화의 표준어로서 한글의 세계화운동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