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서울에서 제주까지 고속철도로 가자

1. 상황 인식 첫째, 공항 중심의 대규모 교통인프라 사업 진행중이나 환경문제 심각, 국제적인 추세와 새정부 기조에 맞지 않음. ◦ 부산 가덕도 신공항(2029년, 사업비 16조 원) ◦ 제주 제2공항(2034년, 사업비 6조 원) ◦ 현재, 환경문제, 안전문제 부상으로 제주도민 찬반의견 비등한 상태 ◦ 비행기 연료소모량 철도의 20배 (비행기 285g/km/인, 철도 14g/km/인) 이 외에도 제2공항은 환경문제(숨골, 조류충돌, 이산화탄소등)와 주민이견으로 난항 둘째, 공항으로는 대중교통의 신뢰성 문제 해결 못함 - 신뢰성은 대중교통수단이 갖추어야 할 필수 요소중의 하나이나 항공교통은 기상상황에 취약. - 특히, 조류충돌 위험은 대형사고로 이어짐(무안공항 사고) - 또한, 응급환자 등 긴급 이송이 필요한 경우 제대로 대응하지 못함. ※ 2023년 : 기상 악화로 결항이 된 항공편 6000편 셋째, 누구를 위한 공항인가? - 제주도의 농산물은 품질의 우수성에도 높은 물류비용으로 경쟁력 약화. 제주 경제 최악 침체 (농산물 물류비 가격의 40~50%) - 과역 관광산업만으로 제주의 미래가 보장되는가? 넷째, 서남해안권의 침체 및 지역소멸 가속화되고 있다. - 목포, 해남 등 한반도 서남해안권은 낙후.침체 지역임. - 제주도는 철도교통 부재로 지역경제는 항공교통에 의존 2. 목포~제주 고속철도 추진 - 목포~해남~제주간 167km, 사업비 16조원(가덕신공항 사업비와 유사) - 기 검토시 사업의 타당성도 있는 것으로 분석됨(b/c 1.0 이상) 3. 효과 - 전혀 새로운 제주 철도 시대 열림 - 모든 면에서 공항건설보다 우위의 전략임 제주고속철도 제주공항 환 경 o x 대중교통신뢰성 o x 제주 경제(관광) o x 제주 경제(물류) o x + 전남 내륙 발전 o x 현 공항사업 지속으로 잇점은 한 가지임. 즉, 추진절차가 조금 앞서 있다는 것. 4. 검토 사업비가 공항 대비 2-3배 소요된다는 점 지적됨. 그러나, 자체의 사업성이 담보된다면 사업의 규모에 관계없는 논란임. 본 사업은 b/c가 있어 재정사업으로 해도 되고 민자사업으로 추진하는 것도 가능. 다만, 사업의 수익을 고려할 때, 전국민에 수익이 재배분되도록 하려면 재정사업으로 추진 바람직. 결론적으로, 제주도의 경제, 전남 서부 발전, 여객 및 물류편의를 고려하고 사업의 승수효과를 감안하면, 공항사업보다 고속철도 사업의 효과가 매우 큼.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