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제의식
대한민국의 먹거리 유통 구조는 비효율·불투명·고비용 3박자로 요약됩니다. 국민이 비싸게 먹고, 농민이 가난하게 살고, 중간 유통업자들만 폭리를 취하는 기형적 구조가 수십 년째 고착화되어 있습니다.
-가락시장 중심의 도매시장 독점 구조
-공산품보다 농산물이 더 가격 변동성이 큰 시장
-산지-도매-도소매-마트까지 평균 4~5단계 유통 과정
-산지에서는 1000원, 마트에서는 4500원… 4배 이상 폭등
-농민은 제값 못 받고, 소비자는 눈물 나게 비싼 장바구니 물가 감당
-상인-중개인-브로커-택배-도소매 유통 단계마다 수수료 덕지덕지
그 결과는?
농어민은 빚에 허덕이고, 소비자는 '금값' 농수산물 앞에서 장을 포기합니다.
2. 현장 현실 사례
-2024년 기준, 대형마트 내 농산물 가격은 산지 가격 대비 평균 3.8배 이상
-제주 감귤은 산지에서 1kg 1000원인데, 서울 마트에서는 3900원
-강릉 오징어는 어판장에서 3000원이지만, 서울 백화점에서는 마리당 1만2000원
-2023년 한국 농어민 평균 연소득은 1630만원 수준
-반면 농산물 중도매인·도매법인 연간 수수료 수입은 3조원 이상
→ 구조적으로 생산자는 고사하고 유통업자만 배부른 구조
3. 해외 선진국의 유통 시스템
1. 네덜란드 – 유럽 최고의 농업 수출국
-산지직송 + 디지털 경매 시스템
-생산자가 모바일로 가격 제시 → 전국 유통사들이 실시간 경쟁 입찰
-유통비용은 한국 대비 1/3 수준
-소비자 판매가도 한국 대비 20~40% 저렴
-AI 기반 수요예측으로 생산량 과잉 최소화
2. 일본 – 지역 유통 혁신
-JA(농협) 직영 마켓 + 로컬 직판장 제도 운영
-지역 농민이 직접 가격 설정 → 소비자와 직거래
-정부는 유통보조금 아닌 디지털 물류 인프라 지원에 집중
-고령 농민 대상 배송 연계 로봇 서비스 및 드론 배송 확대
3. 미국 – 농민 직판 플랫폼 USDA 지원
-정부 직영 ‘Farmers Market Directory’ 운영
-농민과 소비자가 직접 연결되는 온라인 장터
-AI 기반 동선 최적화 물류 알고리즘으로 가격 거품 제거
-최근엔 Amazon Fresh와 협력해 농민-소비자 직거래 플랫폼 강화
4. 개혁 방향 및 핵심 정책 제안
1. 중간 유통 이윤 상한제 도입
-산지 가격 대비 2배 이상 폭리 금지
-법으로 유통단계별 최대 마진율 설정
-위반 시 과징금 + 유통 자격 박탈
2. AI 기반 ‘먹거리 유통 투명망’ 구축
-농수산물 유통 전 과정 실시간 공개 시스템
-생산자, 물류, 유통사, 소비자가 실시간 가격·경로 확인 가능
-블록체인 기반으로 유통기록 조작 불가능하게 설계
→ 공공앱으로 전 국민에게 무료 공개
3. ‘산지-소비지 직거래’ 플랫폼 국책사업화
-공공 주도로 전국 단위 디지털 직거래 플랫폼 운영
-소비자는 산지에서 바로 주문, 생산자는 수익 확대
-택배사, 물류사와 협약 체결해 배송비 일부 국가 보조
-기존 로컬푸드 직매장과 연계
4. 유통 독점 법인 해체 및 지역 농민협동조합 강화
-가락시장 중심 도매 독점 체제 철폐
-도매법인 수수료 상한제 도입 및 순환 경매 금지
-지역 농협 및 직거래 조합에 우선 유통권 배정
→ 농민이 주인 되는 유통 구조 전환
5. 고속도로 휴게소·공공기관에 ‘농민 직거래 장터’ 의무 설치
-전국 1000개 이상 휴게소, 구청, 우체국, 공공청사에 직판장 의무화
-로컬 농산물 소비와 농민 수익 증대 동시에 달성
6. 농수산물 실시간 AI 가격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
-시장 왜곡 시 경고 및 수급 조정 기능 포함
-농민에게 최적 가격 예측·출하시기 분석 정보 제공
5. 기대 효과
-소비자 장바구니 물가 최대 30% 절감
-농어민 평균 소득 25% 이상 증가
-유통 수수료 비중 감소로 전체 국민 먹거리 안정화
-지역 기반 농산물 자급률 향상
-AI기반 예측으로 수급 과잉 및 폐기율 감소
6. 결론
대한민국의 먹거리 유통 시스템은 국민의 식탁이 아니라 브로커와 유통업자의 지갑만 불리는 구조입니다.
더 이상 이런 구조를 방치해선 안 됩니다. AI와 디지털 기술, 국가의 실행력만 결합된다면 단 1년 안에 유통 개혁과 국민 먹거리 가격 안정은 현실이 됩니다.
이제는 소비자와 생산자가 주인이 되는 유통 시스템으로 대한민국의 장바구니 정의를 바로 세워야 할 때입니다.
정부의 결단이 필요합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