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군 복무자 예우 및 보상 제안

■ 1. 제안 배경 1.1 국가 의무인 병역 수행에 따른 희생 - 과거 수십 년간, 병사들은 자발적 선택이 아닌 국가 의무로서 젊은 시절의 시간과 노력을 희생 - 열악한 급식·침구·복무 환경과 낮은 월급에 따른 기회비용 발생 1.2 세대 간 보상 격차의 현실 - 1970년 병장 월급: 900원 - 2010년 병장 월급: 약 97,500원 - 2018년 이후: 40만 원대 - 2023년: 약 100만 원 - 2025년 목표: 약 150만 원 → 과거 복무자에 대한 현재 기준 보상 재평가 필요 ──────────────────────────────────────── ■ 2. 제안 내용 2.1 소급 보상 지급 - 2022년 이전 만기 전역자를 대상으로, - ‘실제 복무 개월 수’ × ‘2025년 병장 최고 급여(예: 1,500,000원)’ 기준으로 산정 - 예) 24개월 복무자: 24 × 1,500,000원 = 36,000,000원 2.2 지급 방식 - 수령 방식 선택권 부여 1) 일시금 일괄 지급 2) 연금 형태 분할 지급 2.3 대상자 범위 - 기본: 2022년 이전 만기 전역한 육·해·공군 병과 전투경찰 - 검토 사항: • 사회복무요원 포함 여부 • 복무 형태·기여도에 따른 차등 지급 ──────────────────────────────────────── ■ 3. 기대 효과 - 병역 이행자에 대한 국가적 예우 실현 - 세대 간 형평성과 정의 강화 - 병역 의무의 자긍심 고취 및 병역 기피 풍조 완화 - ‘준(準) 국가유공자’ 수준의 명예 및 예우 제공 ──────────────────────────────────────── ■ 4. 재원 조달 및 시행 방안 4.1 예산 확보 - 중·장기 재정 계획 수립 - 기금 조성(예: 국방기금 내 별도 계정) 4.2 법·제도 정비 - 대상자·지급 기준 명문화 - 지급 방식 및 절차 운영 매뉴얼 마련 4.3 행정 절차 - 대상자 명단 확인 및 검증 - 신청·접수 → 심사 → 결정 → 지급 ──────────────────────────────────────── ■ 5. 결론 국가를 위해 복무한 모든 병사들은 그 기간 동안 져야 했던 희생과 기회비용에 대해 최소한의 예우를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본 제안이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병역 제도의 발전적 개선을 촉진하여, 병역 이행자에 대한 존중과 보상이 실질적으로 실현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