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유치원부터 대학교까지 무상교육 정책

1. 정책 배경: 저출산 문제와 교육비 부담 한국의 합계출산율(TFR)은 2023년 0.72명, 2024년 0.7명으로 OECD 최저 수준이며,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높은 교육비 부담이다. 교육비 규모: 사교육비: 2023년 기준 초·중·고 학생 1인당 월평균 53만원(통계청). 대학교 등록금: 국·공립대 연 400만~500만원, 사립대 연 700만~1,000만원. 유치원 비용: 공립 유치원 월 10만~20만원, 사립은 30만~50만원. 가계 부담: 2024년 가계소득 대비 교육비 비율은 약 10~15%로, 다자녀 가구에서 특히 부담 큼. 출산율 영향: 국토연구원(2024)에 따르면, 교육비 10% 감소 시 출산율 0.01~0.03명 증가 추정. 제안 이유: 유치원부터 대학교까지 무상교육은 가계의 장기적 경제 부담을 줄이고, 출산 및 양육에 대한 심리적 장벽을 낮춰 출산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2. 정책 제안: 유치원부터 대학교까지 무상교육 정책 개요 대상: 모든 아동 및 청년(3세~22세, 유치원~대학교). 범위: 유치원: 공립 및 사립 유치원 등록금 전액 무료, 교재비·급식비 지원. 초·중·고등학교: 현재 무상교육(의무교육) 유지, 사교육비 경감을 위한 공교육 강화. 대학교: 국·공립대 등록금 전액 무료, 사립대는 50~100% 지원(소득 기준 차등). 추가 지원: 기숙사비(대학생), 교재비, 방과후 프로그램(유치원~고등학교) 지원. 다자녀 가구(2자녀 이상) 추가 지원금(예: 연 100만원/자녀). 세부 방안 1)유치원 무상교육 현황: 2025년 기준, 5세 아동 대상 무상교육 시행 중(이재명 공약 기반). 제안: 3~5세 전 아동으로 확대, 사립 유치원 포함(정부 보조금 제공). 비용: 약 2조원/년(2024년 기준 유치원생 50만명, 1인당 400만원 추정). 2)초·중·고 공교육 강화 현황: 초·중·고 무상교육은 이미 시행 중(수업료, 급식비 등). 제안: 사교육비 감소를 위해 공교육 질 강화(교사 1인당 학생 수 OECD 평균 15:1로 조정, 현재 20:1), 방과후 프로그램 무료 제공. 비용: 약 5조원/년(교사 충원 및 프로그램 확대). 3)대학교 무상교육 현황: 국가장학금으로 소득 1~3분위 등록금 지원, 사립대는 부분 지원. 제안: 국·공립대(41개, 전체 대학 20%) 등록금 전액 무료. 사립대는 소득 8분위 이하 50% 지원, 3분위 이하 100% 지원. 기숙사비(연 200만원) 및 교재비(연 50만원) 지원. 비용: 약 10조원/년(대학생 180만명, 1인당 평균 600만원 추정). 예상 효과 출산율 증가: 교육비 부담 감소로 출산 의지 증가. 국토연구원 모델 기준, 교육비 50% 감소 시 TFR 0.05~0.1명 증가 가능(0.7→0.8명). 가계 소득 여유: 가계 교육비 지출 10~15% 감소, 소비 및 저축 증가로 경제 활성화. 교육 평등: 저소득층의 고등교육 접근성 향상, 사회적 계층 이동 촉진. 인적 자본 강화: 교육 수준 향상으로 장기적 경제 성장 기여(교육투자 1% 증가 시 GDP 0.2% 성장, OECD 추정). 3. 재원 마련 방안 총 예상 비용: 약 17조원/년(유치원 2조, 초·중·고 5조, 대학교 10조). 세수 확대: 법인세율 조정: 현재 25%에서 27%로 상향(약 5조원 추가 세수, 재정추계). 부동산 관련 세금: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강화(약 3조원). 예산 재배분: 비효율적 복지사업 축소(예: 일부 중복 보조금 통합, 약 2조원 절감). 국방비 일부 조정: 군사훈련 예산 10% 감축(약 2조원). 민간 협력: 사립대 및 유치원에 세제 혜택 제공, 참여 유도(약 3조원 간접 지원). 국채 발행: 초기 5년간 2조원/년 국채 발행, 장기적 경제 성장으로 상환. 4. 실행 계획 1단계 (2026~2027년): 국·공립 유치원 및 대학교 무상교육 시행, 사립대 50% 지원 시작. 2단계 (2028~2030년): 사립 유치원 및 사립대 전액 지원 확대, 공교육 강화 완료. 3단계 (2031년~): 다자녀 가구 추가 지원(예: 자녀 1명당 연 100만원) 및 정책 평가. 5. 예상 반론 및 대응 재원 부족 우려: 법인세 및 부동산 세제 개편으로 재원 확보 가능. 장기적으로 GDP 성장 효과로 재정 부담 완화. 교육 질 저하 우려: 공교육 강화(교사 충원, 커리큘럼 개선)로 질적 하락 방지. 형평성 논란: 소득 구분 없는 무상교육으로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모두 혜택, 사회적 합의 도모. 6. 결론 유치원부터 대학교까지 무상교육은 교육비 부담을 줄여 출산율을 높이고, 교육 평등 및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강력한 정책이다. 이재명 정부의 민생 중심 철학에 부합하며, 기존 출생 기본소득과 연계 시 시너지 효과 기대. 2026년 시범 시행으로 시작해 2030년까지 전면 시행을 목표로 한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