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독자적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

■ 독자적 저궤도 위성통신망이 선택이 아닌 필수인 이유 ☆ 지방화 시대 필수 선결 과제 균형발전의 핵심 인프라: 지방 거점도시, 농어촌, 산간지역의 통신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자율주행·드론·스마트팜·원격의료 등 디지털 기반 산업 육성에 필수. 전국망 초저지연 통신 구현: 수도권 중심의 통신 의존을 탈피하여, 전 국토에 걸쳐 균일한 통신 품질 확보. 재난 대응 능력 향상: 지진·홍수·산불 등 자연재해 시에도 위성망을 통한 통신 연속성 확보. ☆ 안보 차원에서의 전략적 필요성 ▷ GPS 독립성 확보 미국 등 외국 GNSS(GPS, 글로나스, 갈릴레오 등)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현재 구조에서는 통신 및 정밀 위치 정보가 외국에 종속됨. 국방, 항공, 해상물류, 무인기 등 전략 분야의 정보 주권 확보 위해 독자 위성망 필수. ▷ 동북아 전략 지대 커버리지 확보 동북삼성·연해주·산동반도·일본열도·오키나와까지 커버하는 독자 위성 통신권 확보는 외교·경제·군사 전략에서 결정적 영향력. 우방국과 공동 운용 또는 위성 통신 공유체계 구축 가능성도 높음. ▷ 사이버/전자전 선제 대응 능력 확보 미래 가상 적국의 위성·기지국 공격, 통신망 교란 가능성에 대비한 다중 백업망 역할. 국산 위성망이 통신 독립성을 유지하며 지휘·통제·정보 전달 체계의 중추가 됨. ▷ 북극항로 개척과 해양 진출 기반 기후 변화로 활발해진 북극항로 개척은 통신 인프라가 전제 조건. 위성망이 없는 항로는 조난·사고 시 대응 불가, 해양 물류 주도권도 타국에 빼앗길 우려. 북극한반도호주 연결 글로벌 해양 네트워크의 거점 국가로서 선도적 입지 확보. ✔ 결론 및 제안 저궤도 위성통신망은 단순한 통신 기술이 아니라 국가 생존 전략 인프라입니다. 디지털 주권, 국토균형발전, 국방안보, 해양전략, 기후변화 대응까지 전 방위 영역에서 핵심 역할. 국책 사업으로 조기 착수하고, 향후 한·미·일 또는 한·아세안 위성연합 체계 구축을 통한 전략적 우위를 선점할 필요가 있습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