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안전한 나라, 국민 안전 AI 플랫폼 구축 방안**

Safe-Net Forum 공공 안전 통신망 포럼 안전한 나라를 위한 국민 안전 AI 플랫폼 구축 방안 [요약] 공공 안전 통신망 포럼 (2025. 07. 03.) □ 개요 ○ (필요성) 의성 산불 등 기후 변화로 인한 대규모 복합 재난이 반복되어 기존 대응 체계는 한계가 있어, 최첨단 AI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한국형 재난 안전 플랫폼을 설립하여 전 주기적 지능형 재난 관리(육상, 해상, 철도 등) 체계 요청 o (재난 안전 대응 한계) 700MHz 주파수 용량 부족, 사후 대응 위주의 시스템으로 복합 재난 예방 등 구조적 한계가 있어 국민 불신 심화 O (해외 사례) 드론, 위성, SNS 등 다중 경로(음성, 영상, 데이터 등)를 통한 복합 재난에 최적화된 AI 실시간 대응 체계 본격화 시도 *(일본) NIED 중심 AI 통합 시스템 재난 대응(예측·감지·상황 분석 등)*(미국) FEMA 중심 AI 재난 대응(피해 예측, 복구 자동화, 데이터 공유) 국민 안전 AI 플랫폼[가칭] 구축 방안 ○ (목적) 대형화·복잡화되는 재난에 선제적 예방 중심의 대응 체계 구축을 위해 범정부 차원 전 주기 재난 관리의 컨트롤 타워 ○ (기능) AI 기반 재난 안전 데이터 허브 및 실시간 예방 플랫폼 역할 - (데이터) CCTV, 드론, 로봇 등 실시간 데이터 연결 수집 관리 - (AI) 한국형 과학적인 재난 안전 AI 엔진(LLM, 대규모 언어 모델) 개발 및 운영 - (활용) AI 기반 예방 중심의 전 주기적 재난 대응 지원 재난 안전 데이터 허브 국민 안전 AI 센터 운영 재난 안전 대응 지원(실시간 멀티 모달 센싱) (한국형 재난 안전 AI 플랫폼)(예방-대응-복구) · 드론, 로봇, IoT, CCTV, 센서 한국형 재난 안전 AI(LLM) 개발· 실시간 지능형 의사 결정 지원· 사회, 환경, SNS 데이터 실시간 재난 안전 위험 분석· 예측· 맞춤형 위험 경보 및 상황 전파· 시민, 지자체, 소방, 경찰 등 상황별 지능형 판단 기능 제공· AI 최적 자원 배분 및 조치 국민 안전 AI 센터 News you Air data hub 대국민 서비스 예방 대비 대응 AI engine 정부, 지자체, 유관 기관 사상 확실 지자체 O (추진 체계) 범정부 협력과 제로 예타 면제 사업 추진(행정 안전부 주관) o (추진 일정(안)) 기획/ISP('25~26), 시범 구축('26~27), 전국 확산('28~29), 고도화('30~) O (소요 예산) 5,000억 원 추정 * AI 시스템 개발 1,500억 원, 데이터 통합·인프라 2,000억 원, 운영·교육 500억 원, TB 1,000억 원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