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급여금은 국가를 위해 헌신한 국가유공자 및 그 유가족의 삶의 질을 보장하고 예우하는 핵심 수단입니다.
하지만 지난 20년간 보훈급여금의 인상률은 최저임금, 병사 월급 등 다른 공적 급여에 비해 턱없이 낮아 실질적 가치가 감소했고, 이는 국가유공자에 대한 사회적 예우 약화로 직결되고 있습니다.
지난 20년간 인상 비교 분석 (2005년 → 2025년)
보훈급여금 (국가유공자 상이등급 기준, 월평균) 약 30만 원 약 55만 원 83%
최저시급 2,840원 9,860원 247%
병장 월급 97,500원 1,000,000원(추정) 925%
동일한 기간 동안 보훈급여금은 83% 인상, 최저시급은 약 3.5배, 군인 월급은 약 10배 가까이 인상되었으며,
보훈급여금의 상대적 가치는 급격히 하락하였습니다.
[문제점]
(1) 실질 구매력 감소: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연동 시, 과거에 비해 생활물가 부담이 훨씬 커졌지만, 보훈급여금은 이를 따라가지 못함.
(2) 사회적 예우 약화:
보훈대상자에 대한 사회적 존중이 실질적 보상 부족으로 퇴색될 우려.
(3) 청년세대와의 불균형:
군 복무 보상은 획기적으로 증가한 반면, 국가에 헌신한 고령 국가유공자에 대한 보상은 상대적으로 정체.
[정책 제안]
제안 1: 보훈급여금의 최저임금 연동 인상제 도입
매년 최저시급 인상률의 일정 비율을 보훈급여금 인상률에 반영
(예: 최저시급 인상률의 70~100% 범위로 자동조정)
제안 2: 군 급여 대비 보훈급여금 상한선 재조정
병장 월급의 일정 비율 이상으로 보훈급여금 하한선을 설정
(예: 병장 월급의 60% 이상)
제안 3: 보훈급여금 계층별 구간 인상제
상이등급 또는 보훈대상자 구분에 따라 차등적 인상폭 확대
----
보훈급여금은 명예의 대가가 아니라 국가의 의무입니다.
다른 공공급여의 인상 속도에 비해 보훈급여금의 인상이 미미했던 지난 20년은 국가가 유공자를 잊어버린 시간입니다.
이제는 그 격차를 되돌리고, 예우의 가치를 회복해야 할 시점입니다.
단계적이고 현실적인 인상 로드맵과 자동 인상 연동제를 통해, 국가가 다시 국민 앞에 약속을 지키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입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