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제안 10
교육과정에 ‘자유와 권리’만큼 ‘책임과 의무’ 교육 강화 도입
대한민국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자유’와 ‘권리’는 강조되지만, ‘책임’과 ‘의무’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은 매우 우려스럽습니다.
1. 현실: 자유·권리 vs 책임·의무 불균형
현재 학교의 인권·시민교육에서는 “자유, 평등, 인권, 국민 소송권 등 권리 중심 개념”에 집중되어 있으나,
“책임, 의무, 공동체 약속, 결과에 대한 대응책 등”은 교과서·수업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고 있습니다.
2. 이대로 지나가면 어떤 ‘인식’을 가진 세대가 될까?
** 이미 ‘책임과 의무’는 교육 과정에서 배우지 않고 성장한 세대가 상당한 것으로 압니다.
무책임한 개인주의 확대
“나는 할 수 있어, 하지만 책임 안 져도 돼”라는 사고
사회적 공감·연대감 약화
“나만 권리 주목받고, 나만 자유면 돼” → 공동체 책임 홀대
정치·경제적 무관심 확산
힘든 이웃·사회 문제에 “내 일이 아니야”라는 태도 강화
사회적 갈등·분열 심화
개인 자유만 강조된 사회는 서로 의견 충돌 시 양보·책임이 사라짐
3. 개선 방안
교육과정 개선
‘권리’ 중심 → ‘권리와 함께 책임·의무’ 토론 중심 교과 전환
참여 실천형 활동
모의 세금 징수와 예산 책정,
지역사회 ‘이웃과의 약속 수행 프로젝트’ 등
교과서 개정 권고
책임·의무에 관한 사례 삽입 비율을 최소 30% 이상 확대
‘권리만’ 나열식 교육에서, “책임을 질 수 있는 권리 시민”을 기르는 구조로 전환
모니터링 및 평가 지표 도입
학기별 책임·공동체 의식 평가 항목 도입
“우수 활동 마크(badge)”(학생이 책임과 의무를 잘 수행한 경우에 부여하는 ‘모범 마크) + 설문조사, 프로젝트 수행 체크리스트 활용
결론
“자유를 배웠지만 책임을 배우지 않으면, 결국 자유는 의미 없는 방종이 된다.”
이 교육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책임·의무 교육의 ‘제도화·수업화·평가 체계화’가 시급합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