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빈곤 제로 사회 실현을 위한 최저생활보장 기준 상향 및 생활안전망 강화”

1. 제안 배경 안녕하세요 현재 대한민국은 여전히 많은 국민들이 최저생계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빈곤 문제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특히 실직, 질병, 이혼, 장애, 돌봄 공백, 가족 해체 등 다양한 위기로 인해 누구나 언제든지 갑작스럽게 빈곤층으로 전락할 수 있는 불안정한 구조입니다. 현행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중위소득 30% 수준에서 생계급여를 지급하고 있으나, 이는 절대빈곤선 기준일 뿐, 실제 생활이 가능한 ‘상대적 빈곤선(중위소득 50%)’에는 한참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더불어 생계급여 및 의료급여 대상자 선정에 있어 부양의무자 기준이 존재하여 가족이 도와주지 않아도 될 경우조차 복지 수급에서 배제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모든 국민이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받을 수 있는 안전망 구축이 시급합니다. 2. 제안 내용 1. 생계급여 및 의료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전면 폐지 가족의 지원 여부와 무관하게 개인의 소득과 자산만을 기준으로 생계급여 및 의료급여 대상자 선정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실제 지원이 없는 경우까지 복지 사각지대에 방치되지 않도록 개선 2. 생계급여 기준선 중위소득 50%로 단계적 상향 현재 절대빈곤선인 중위소득 30%를 → 상대빈곤선인 50% 수준까지 단계적으로 인상 1단계: 35% → 2단계: 40% → 최종 50%로 3~5년 내 도달 목표 3. 최후의 생활안전망 체계화 기존 국민기초생활보장 외에도 단기적 위기상황(구직실패, 질병, 이혼 등)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긴급생활안정 지원 제도 확대 및 자동 연결 시스템 마련 기대 효과 극단적 빈곤으로 인한 자살·가정 해체·노숙 등 사회적 비용 감소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실질적 빈곤율 감소됩니다. 국민 누구나 어떠한 위기 상황에서도 기본생활 보장 가능이 합니다. 정부의 복지 신뢰도 및 정책 체감도가 향상이 됩니다. 마무리 요청 문구 복지는 단지 도움이 필요한 소수를 위한 정책이 아니라, 언제든지 위기에 처할 수 있는 ‘나와 우리의 미래’를 위한 기본권 보장 장치입니다. 빈곤선 이하의 삶을 사는 국민이 없도록, 이제는 대한민국도 실질적인 ‘빈곤 제로 사회’를 목표로 한 근본적 생활안전망 강화가 필요합니다. 부디 본 제안을 보건복지부와 관련 부처가 책임 있게 검토해 주시기를 간곡히 요청드립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