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상권 이미지 개선을 위한 공공 질서 강화 방안

1️⃣ 소비자 경험의 악화 > 예시로 동대 * 단기간에 많은 상점을 효율적으로 둘러볼 수 있다는 것이 동대문의 최대 장점이었음. * 하지만 삐끼의 과도한 호객, 협박성 말투, 욕설 등은 소비자에게 심리적 피로를 유발. * 쇼핑이 즐거운 경험이어야 하는데, 불쾌하고 스트레스 받는 경험으로 변질됨. ✅ "왜 돈 내고 스트레스를 사야 하지?" → 자연스럽게 온라인 쇼핑, 대형 쇼핑몰, 브랜드 매장으로 이탈. 2️⃣ 상인들의 단기적 매출 지향 구조 * 경쟁이 심화되면서 매장 간 유입 경쟁이 과열됨. * 호객이 없으면 매출이 안 나온다는 인식이 팽배. * 일부 상인은 오히려 호객꾼에게 수수료를 주고 고객 유치. 👉 장기적으로는 전체 상권의 이미지와 신뢰도 훼손. 3️⃣ 자율 규제 실패 + 공공 질서 관리 부재 * 자율적인 상인 협회 차원의 질서 유지 실패. * 관할 구청, 경찰, 시장 관리 단체는 일시적인 단속만 반복. * 상습적인 삐끼, 욕설, 협박에도 실질적 처벌은 거의 없음. 4️⃣ 결정적 방아쇠: 소비자 집단 이탈 * 한 번 불쾌한 경험을 하면 절대 다시 가지 않음. * 입소문, 온라인 후기, 커뮤니티에서 **"동대문? 진상 많음, 가지 마라"**라는 인식 확산. * 이러한 인식은 단기간에 퍼지고, 회복은 매우 오래 걸림. 대문 삐끼 문화는 단순한 영업 방식의 문제가 아니라, 소비자 경험을 망치고, 상권의 브랜드 가치를 스스로 붕괴시키는 결정적 원인 중 하나였습니다. ✔️ 특히 쌍욕, 위협, 협박 같은 행위는 단순 민원이 아니라 범죄 수준입니다. 용팔이는 어떤가요? 용산 전자상가 상인들 중 일부가 사용하는 비합리적, 불투명, 심지어 사기성 영업 행위를 일컫는 말입니다. 주로 허위 가격, 바가지, 강매, 허위 광고, 사기성 판매 등이 특징입니다. 제주도 '비계 삼겹살' 사건은 어떤가요? 고기의 약 98%가 비계로 구성된 삼겹살을 손님에게 주고 항의를 받자 이 정도면 고기가 많은 편이라고.... 광장시장에서 외국인 유튜버에게 바가지 요금으로 음식을 판매한 이슈도 있었습니다. 💣 이 문제는 단순히 상인만의 문제가 아니다. 결국 사회 전반의 신뢰 시스템 붕괴와 연결됨. 이것이 심화되면 "한국은 외국인에게 불친절한 나라", "바가지 많은 나라" 라는 국제적 이미지로 직결. 🚀 해결 가능한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의지와 시스템 설계가 필수적입니다. ✅ 강력한 법적 규제 (가격 미표시, 강매 즉각 벌금) ✅ 소비자 보호 기관 즉시 대응 체계 ✅ 공공 플랫폼에서 가격·품질 리뷰 실시간 공개 ✅ 관광객 전용 인증 상점 도입 (Gov 인증) ✅ 상인 대상 서비스 교육 의무화 ✅ 민원 발생 시 즉각 벌점, 퇴출 시스템 "신뢰가 없는 사회는 성장할 수 없습니다." 동대문 삐끼, 용산 용팔이, 광장시장 바가지, 제주도 비계 삼겹살… 이 모두는 결국 한국 사회가 신뢰 사회로 전환하지 못하고 있는 증거입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